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커버스토리


김두관 경남도지사

“성장과 분배, 고용의 선순환 구조를 통해서 중산층을 복원해야 합니다”


대학을 나와도 취직자리가 없어서 백수로 사는 젊은이가 헤아릴 수 없이 많고 일을 하고 싶어도 일자리가 없어서 놀아야 하는 우리의 현실. 그러나 이 사람의 이력을 보면 우리가 어떤 자세로,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잠시 고민하게 된다. 젊은 나이에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며 마을이장을 지냈고 36세에 최연소 기초단체장이라는 기록도 세웠다. 그리고 지금, 경남도지사로 재임 중이면서 또 다시 많은 국민들에게 조명을 받고 있는 김두관 경남도지사를 만났다.

‘불환빈, 환불균(不患貧, 患不均)’, ‘백성은 가난함을 걱정하기보다 불공평함에 분노한다’는 논어의 구절은 김두관 경남도지사의 좌우명이다. 지도자의 역할은 사회구성원들이 공평하게 대우받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그는 섬김의 정치를 하고자 노력한다.

“지난 20년, 신자유주의에 가위눌린 채 지내왔다면 이제는 공존과 공영의 대한민국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모 방송국의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은 시사하는 바가 큰데요. 구성원들 간의 경쟁을 통해 최후의 1명만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화합을 통해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다 같이 살아남는 법칙을 택하고 있기 때문이죠. ‘네가 없어야 내가 산다’가 아니라, ‘네가 살아야 나도 산다’는 새로운 ‘정글의 법칙’을 표방하고 있는데요. 이것이 2012년 우리 사회가 채택해야 할 시대정신입니다. 지금까지 ‘소극적 수비’를 해왔다면 이제는 ‘적극적 공격’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김 지사는 선거에서 ‘승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집권해서 반드시 ‘성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2008년 총선에서 낙선의 고배를 마신 후 좌절과 방황, 성찰과 모색의 시간을 보낸 그는 개혁가인 ‘룰라 다 실바룰라 전 브라질 대통령’의 정책에서 정치적 리더십을 배우고 희망의 단서를 찾았다.

환경이나 여러 가지 여건이 다른 브라질의 룰라정책은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지만 정치적 리더십에서는 배울 점이 많았다고. 그래서 불필요한 적을 만들지 않는 것이 지지 세력을 배신하지 않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했다. ‘단계와 외연을 확장하는 것’도 ‘기본과 중심의 강화’에 이바지할 때 의미가 있기에 서민층은 물론, 자기를 반대했던 기득권층까지도 성장의 기회를 주었다. 되도록 보수기득권층과의 불필요한 마찰도 줄였고 오히려 설득하여 국가발전에 나서도록 했다.

성공하는 서민정부의 모델을 보여주었기에 그는 취임보다는 퇴임 시 더 높은 지지(80%)를 받았다. 

정치적 리더십 덕분이었다. 시종일관 지지층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가족수당 등 직접적인 복지정책을 통해서 빈곤층을 구제하도록 노력했던 결과였다. 내수시장 활성화도 가져왔다. 성공하는 정부에 비전을 제시하고 불필요하게 적을 만들지 말자. 김 지사의 바람이다. 성장과 분배, 고용의 선순환 구조를 통해서 중산층을 복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우리가 해야 할 일은 4대강 토목사업보다 사람들에게 투자하는 일이기에.

어머니는 나의 스승

김 지사에게 있어 어머니는 큰 스승님이다. 그의 어머니께서는 늘 ‘언덕은 내려다봐도 되지만 사람은 절대로 낮춰보면 안 된다’고 귀에 못이 박히도록 말씀하셨다. 그가 겸손과 경청의 자세를 배운 것은 어머니의 이런 가르침에서 비롯됐다. 반농반어의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그는 “어릴 적 운동화를 신어보는 게 꿈이었다”고 말한다.

그는 경남 남해군 고현면 이어리에서 1959년 아버지 김봉환(金奉煥)씨와 어머니 박봉순(朴奉順)씨의 5남 1녀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초등학교 4학년 때 아버지를 여의는 아픔을 겪었다. 어려운 가정살림을 책임진 어머니는 이웃집 허드렛일을 마다하지 않으면서 자식들을 헌신적으로 키워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진학을 하고 싶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았다.

그가 졸업한 남해종고 졸업생 240명 가운데 4년제 대학에 합격(국민대 어문계열)한 학생은 3명이었다. 그 중 한 명이 김 지사였다. 당시 등록금이 28만3000원이었다. 대학을 가기 위해 이리저리 빌리러 다녔지만 다들 어렵게 살던 시절이라 그마저도 여의치가 않았다.

“가난 때문에 대학에 갈 수 없는 억울함을 농사일에 쏟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그 또한 만만치 않더라고요. 가난을 벗어날 희망은 보이지 않고 농사를 지을수록 손해만 봤죠. 아직은 젊은 나이인데 미래에 대한 비전이 없다는 좌절감이 찾아왔습니다. 그때 같이 농사를 짓던  둘째 형이 대학진학을 권유했죠. 힘든 상황이었는데도 형들의 도움을 받아 영주 경상전문대(현, 경북전문대)에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어렵게 사시던 어머니는 그가 공무원이 되는 걸 원하셨다. 안정된 직장에서 밥이라도 제대로 먹고 사라는 의미였다. 그래서 어머니의 소원을 풀어드리고자 행정학과에 입학했다. 가족들의 희생이 없었더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전문대시절 같이 공부했던 친구들과의 우정은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부산 동아대 정치외교학과 3학년에 편입해 했던 공부는 그가 꿈을 이루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경청하지 않으면 불통(不通)하게 된다!

김 지사는 말을 하기보다는 듣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선지 선출직으로 당선된 지 20년이 지난 지금도 그는 대중 앞에서 말하는 게 여전히 두렵다.

“경청하지 않으면 불통(不通)하게 된다는 것을 어릴 적부터 배웠습니다. 하지만 말을 잘 듣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죠. 나라 안팎의 지도자들 중에서 남의 말, 특히 국민의 말을 아예 듣지 않거나 제대로 들으려 하지 않는 바람에 큰 곤욕을 치른 경우를 종종 보게 되잖습니까? 그만큼 경청이 중요하다는 말이죠. 앞으로도 군민들의, 서민들의 말을 잘 헤아리도록 하겠습니다.”

남해군수 시절 김 지사가 ‘민원공개법정’이란 제도를 도입할 수 있었던 것도 평소에 겸손과 공평의 리더십을 몸에 익히고 경청하였기 때문이다. 남의 말을 잘 듣는 경청이야말로 ‘성공하는 서민정부’를 만들기 위한 리더십의 요체였던 것이다.

마을이장, 어촌계의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해 지역주민들에게 환호 받아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곧바로 고향으로 돌아온 그는 지역에서 ‘남해농민회’를 조직하고 농민운동을 시작했다. 1988년부터는 2년 동안 남해군 고현면 이어마을의 이장으로 활동하면서 불합리한 관행을 해결해 주민들로부터 큰 환호도 받았다. 

“어촌에는 수산업협동조합에 가입한 조합원들이 구성한 마을별 소규모 협동조직인 어촌계가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장을 맡고 나서 보니까 어촌계가 어장수익을 일부만 나눠 갖더라고요. 분명 잘못된 것임은 알지만 어린 이장의 말을 어촌계원들이 들어줄 리 만무하잖아요. 그래서 매일 막걸리를 사들고 어촌계를 찾아다녔습니다. 처음에는 듣는 체도 안 하던 분들이 나중에는 마을회의를 개최하고 어장 수익금을 주민 모두에게 배당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수년간 마을에서 가장 불공정하고 불공평한 일로 꼽혔던 마을 공동어장의 수익분배 문제가 해결된 것이죠.”

남해읍내 청소년들을 위해 책을 대여해주는 문화 공간 ‘책사랑 나눔터’도 개설했다. 이를 통해 풍물, 등산, 낚시, 바둑, 영화, 문화 등 각종 취미 반 1천여 명이 배출됐다. 이 중 적지 않은 사람들이 지역운동의 주력부대가 되었고 이들을 중심으로 남해사랑청년회(1990)가 발족됐다. 한국통신 등 지역노조가 결합한 남해민주실천협의회(1994)도 구성됐다.

지역의 기득권 세력의 비리와 잘못을 파헤친 ‘남해신문’ 창간

김 지사가 걸어온 길에 소중하지 않는 게 어디 있으랴 마는 남해신문(1989) 창간은 더욱  빼 놓을 수 없다. 소외된 지역주민의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해 군민주(君民株)형식의 신문사를 창립하고 지역의 기득권 세력인 공무원과 토호, 유지들의 비리와 잘못을 낱낱이 파헤치기 시작했다. 정론지 역할을 했던 남해신문은 김 지사가 신문을 배달을 직접 하면서 더욱 탄력을 받았다. 김 지사가 매일 아침 작업복차림으로 신문을 옆구리에 낀 채 배달하는 모습을 본 주민들이 ‘남해신문’에 대한 신뢰와 애정을 가졌기 때문이다. 2년 후 그는 37세(1997년)의 어린나이에 그해 부활한 지방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그리고 ‘전국 최연소 자치단체장’의 기록을 세우며 남해군수로 당당히 당선됐다. 광복 후 여당 아닌 사람이 당선된 적이 한 번도 없는 곳에서 당선됐다는 것은 남해지역의 풀뿌리운동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는 취임 후 맨 먼저 주민 공사감독관제와 민원공개법정 등을 도입해 지역토호의 발호를 막고 주민자치행정의 신기원을 열었다. 지역주민들의 지지에 대한 보답이었다. 특히나 주민들이 직접 요구할 수 있는 ‘감사 청원제도’는 훗날 참여정부에서 법제화한 ‘주민소환제’의 밑거름이 되었다.

남해군수로 7년을 지낸 후 지방선거(2002년 6월)에서 그는 다시 경남도지사에 출마했다. 경상도라는 특성 때문에 민주당에 입당한다는 것은 상당한 우려가 따랐지만 지역주의 타파와 국민정당 건설을 위해서 감행했다. 지역주의 극복과 국민과 호흡하는 정치를 꿈꾸었던 꿈을 현실에 시도한 벅찬 순간이었다. 

“집권한 참여정부는 지방분권과 정부혁신을 국정운영기조로 세웠습니다. 노 대통령께서는  제가 군수로 재직하던 7년 동안 매장문화를 화장문화로 바꾸는 장묘정책과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추진했는데요. 조직내부의 토론문화 활성화 등 소신과 원칙의 행정을 좋게 평가했습니다. 저는 항상 대중의 눈높이에서 현장을 바라보고 국민의 소리에 경청하는 섬김에 애쓰려고 노력했습니다. 반대자와 싸우려고 하기보다는 설득했고 열심히 설득하면 대부분 납득하게 했고요. 그것이 정치적으로 불리한 환경에서도 원만하게 합의를 도출하고 시정을 펼칠 수 있었던 원동력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MBC 이코노미 매거진 7월호 中> 구독문의 T 02-6672-0310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수원지역에서 논란 많았었던 '성인페스티벌' 반대 국민동의청원5만명 돌파했다
‘성인페스티벌(2024 K-XF The Fashion)’이 초등학교 근처에서 열리는 것을 시민들과 함께 저지했던 수원시가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여성가족부에 ‘청소년보호법’ 개정을 건의하고, 관련 조례 제정을 추진한다. 수원시(시장 이재준)에 따르면 "시가 이번 법 개정에 나선 이유는 ‘학교 앞 성인페스티벌 개최’와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원시는 전시장 대관 업체에 대관 취소를 요청했으나, 청소년유해업소에 대한 정의가 불명확해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에 청소년보호법 제2조 ‘업소’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고, 청소년 유해업소를 분명하게 해석한 개정안을 건의하기로 한 것이다. 개정 건의(안) 내용은 “‘업소’란 일회성 판매, 대여, 배포, 방송, 공연 등의 영업행위를 하는 행사의 장소 또는 주최 측을 포함한다”고 명시했다. 성인 페스티벌과 같은 청소년 유해환경 조성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수원시의회와도 긴밀히 협력한다. 조문경 의원(수원시의회 문화체육교육위원회 위원장)의 대표 발의로 ‘수원시 청소년의 건전한 사회환경 조성에 관한 조례’ 제정을 추진한다. 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