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부동산


서울 아파트값, 4주 연속 상승


새 정부 출범 이후 서울 아파트값이 심상치 않다. 아파트 매매가가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기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일반 아파트는 중소형 저가 매물에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상승폭이 확대됐다.


다만, 가격 급등에 따른 부담과 대출규제 강화 등 부동산 대책이 예고됨에 따라 서울 재건축 아파트의 상승세는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6월 첫 째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45% 올랐다.


일반 아파트는 0.40% 상승해 전주 0.33% 상승보다 오름폭을 키운 반면,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격은 0.71% 올라 1.05% 상승을 보인 전주보다 상승세가 둔화됐다.


서울은 ▲강동(1.23%) ▲성동(0.68%) ▲송파(0.67%) ▲관악(0.66%) ▲서초(0.54%) ▲양천(0.51%) ▲동작(0.48%) ▲강남(0.44%) ▲영등포(0.44%) 등에서 아파트 매매가가 상승했다.


재건축 단지와 함께 일반 아파트 소형 면적에도 투자수요와 실수요가 이어지면서 가격이 상승했다는 설명이다.


강동은 재건축 아파트를 비롯한 일반 아파트에도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500만~8,000만원 수준의 가격 상승이 있었고, 성동은 중소형 면적에 수요가 이어지면서 250만~5,000만원까지 가격이 올랐다. 송파 역시 500~5,500만원 정도 가격 상승이 관찰됐다.


신도시는 서울과 인접한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상승하면서 0.05% 올랐다.


분당은 모든 면적대 아파트에서 150만~2,000만원 정도의 가격 상승이 있었고, 일산은 중소형 면적대 아파트에서 150만~1,500만원까지 가격이 올랐다. 산본은 중대형 면적대 아파트의 가격이 500만~1,500만원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가격 상승 기대감으로 저가 매물이 소진되면서 0.03%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광명(0.17%) ▲과천(0.16%) ▲고양(0.10%) ▲구리(0.10%) ▲안양(0.08%) ▲하남(0.06%) ▲부천(0.05%) ▲성남(0.05%) ▲시흥(0.04%) ▲파주(0.04%) ▲화성(0.04%) ▲광주(0.02%) 등이 올랐다.


전세시장은 재건축·재개발 이주가 예정된 서울 강동구나 영등포구, 전세수요가 꾸준한 관악구 등에서 국지적으로 오르기도 했지만, 대체적으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서울에서 전셋값이 오른 지역은 ▲강동(0.75%) ▲영등포(0.40%) ▲관악(0.39%) ▲서초(0.26%) ▲노원(0.18%) ▲은평(0.17%) ▲중구(0.14%) ▲강서(0.13%) ▲금천(0.13%) ▲동작(0.12%) ▲서대문(0.12%) 등이다.


강동은 전세 매물이 없어 500만~5,000만원, 영등포 역시 신길뉴타운 이주 수요의 영향으로 500만~5,000만원 올랐다. 관악은 500만~2,000만원 가격 상승이 있었다.


임병철 부동산114 리서티센터 연구원은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당장 오는 7월 말로 유예가 종료되는 LTV(주택담보대출)와 DTI(총부채상환비율)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8월에는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종합대책이 마련될 예정이어서 어떤 내용이 담길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며 “부동산 시장의 과열 양상이 지속·확산될 경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의 조기 도입은 물론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도 예상돼 최근의 급등세가 어느 정도 진정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임 연구원은 “조급한 마음에 과열된 시장에 섣불리 나서기 보다는 발표될 정부의 정책 내용과 규제 강도를 살피면서 내 집 마련이나 투자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