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생활


스마트폰 액정 수리비, 공식 서비스센터가 평균 8만원 더 비싸

공식 서비스센터 평균 22만원…사설 수리업체 평균 14만원
공식 서비스센터 지역별 편차↑…사설 수리업체, 음성화로 2차 피해 우려

 

스마트폰 공식 서비스센터를 통한 단말기의 연간 수리 비용이 4,000억원에 육박하는 가운데, 공식 서비스센터와 사설 수리업체의 액정 수리비 차이가 평균 8만원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공식 서비스센터를 통한 수리가 사설 수리업체를 통한 수리보다 더 비쌌다.

 

10일 최연혜 자유한국당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와 애플의 아이폰 등 주요 12개 단말기 가입자 1,200만명의 액정 교체 비용은 평균 21만8,758원이었다.

 

공식 서비스센터를 이용할 경우 제품별 수리비용은 ▲갤럭시 S8 19만4,000원 ▲갤럭시 S8+ 21만1,000원 ▲갤럭시 S9 19만4,000원 ▲갤럭시 S9+ 20만7,000원 ▲갤럭시 노트8 23만3,000원 ▲갤럭시 노트9 21만7,000원 ▲아이폰X 36만8,000원 ▲아이폰8 19만9,000원 ▲아이폰8+ 22만9,000원 ▲LG V30 23만3,000원 ▲LG G6 16만5,500원 ▲LG G7 17만4,000원 등이었다.

 

반면, 사설 수리업체를 이용할 때는 ▲갤럭시 S8 13만원 ▲갤럭시 S8+ 15만원 ▲갤럭시 S9 13만원(추정) ▲갤럭시 S9+ 15만원(추정) ▲갤럭시 노트8 18만원 ▲갤럭시 노트9 18만원(추정) ▲아이폰X 25만원 ▲아이폰8 10만원 ▲아이폰8+ 12만원 ▲LG V30 9만원 ▲LG G6 8만원 ▲LG G7 13만원 등 평균 14만833원이었다.

 

 

사설 수리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평균 7만8,000원 정도 저렴한 것이다.

 

우리나라 스마트폰 시장에서 소비자들은 순정 부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한 비순정부품을 구매하더라도 자가 수리에 대한 편의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공식 서비스센터나 사설 수리업체를 찾는 것이 현실이다.

 

문제는 공식 서비스센터의 지역별 편차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서비스센터는 전국에 184곳이 있는데, ▲경기 43곳 ▲서울 37곳 등 수도권에 전체의 43.4%(80곳)가 집중돼 있었고, 나머지 지역에는 10곳 안팎의 서비스센터가 자리하고 있었다.

 

LG전자는 전국 132곳 중 ▲경기 24곳 ▲서울 24곳 ▲경북 12곳 ▲경남 12곳 등에 10곳 이상의 서비스센터가 있었고, 나머지 지역은 10곳 이하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 거주하는 소비자는 2차 피해 발생 시 보호받지 못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사설 수리업체를 이용하거나 스마트폰 수리를 위해 인접 도시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전남 장흥에 거주하는 소비자는 개인 차량을 이용해 1시간, 대중교통으로 2시간 이상 소요되는 인접 도시로 이동해야만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설 수리업체의 경우 음성화돼 있어 2차 문제가 발생하면 소비자가 보호를 받기 매우 어려우며, 제조사가 A/S 보증을 거부해 소비자들은 다소 비싼 비용을 치르더라도 제조사의 공식 서비스센터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도 문제다.

 

현행법은 사설 수리업체를 이용한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한 소비자 피해는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7년 11월 A씨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던 중 버튼 문제가 발생해 A/S센터에 문의하니 리퍼를 받으라고 안내를 받았는데, 사설 수리업체를 통해 액정 교체를 받은 흔적이 있어 기기교체가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B씨는 스마트폰 충전 및 통화 음질 불량으로 2016년 1월 공식 서비스센터를 방문했지만, 스마트폰 내부에 나사 3개가 없고 접착부위 불량이 발견되는 등 사설 수리업체에서 수리가 진행된 흔적이 있어 서비스를 받지 못했다.

 

최 의원은 “최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단말제조사가 지정 부품이나 지정 서비스센터를 사용해야 제품 보증을 받을 수 있도록 조건을 건 것은 불법이라고 경고했고, 일본의 경우 일정 수준의 기술과 설비를 갖춘 업체에게 스마트폰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록 수리업자’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며 “생필품이 된 스마트폰 수리 제도와 비용 문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해 국민들의 가계통신비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