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3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경제


韓 AI 인재 경쟁력, 한·중·일 3국 중 꼴찌…인력 부족률 60.6%

 

연평균 50% 이상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AI 시장에서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 AI 인력 부족률은 60.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AI 인재 경쟁력 또한 선진국인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며, 한·중·일 3국 중에서도 가장 낮다는 평가다.

 

15일 한국경제연구원은 인재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교수진 확보 등 AI 교육 인프라를 확대하고 ‘데이터 3법’ 등 규제 완화를 통해 AI 산업 성장을 주도할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데이터 3법’은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다.

 

한경연이 AI 정책 등 관련 연구실적 발표자, AI 관련 연구기관·협회·기업·학계 전문가 등 국내 산·학·연 인공지능 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AI 인재 현황 및 육성 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문가들은 AI 산업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을 기준(=10)으로 중국, 일본, 한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각각 8.1, 6.0, 5.2로 평가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고, AI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해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과 비교할 때도 상당한 격차가 있었다.

 

전문가들은 국내 AI 인력 부족률이 평균 60.6%에 달한다고 응답했다.

 

개별 응답률을 보면 ▲50%대 수준으로 부족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절반 이상 부족하다는 의견이 전체의 72.5%에 달했다.

 

부족 비율이 낮다고 응답한 일부 전문가들은 미래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연구조직이 신설되고 있지만, 현재 AI 기술에 기반한 사업 아이템이 많지 않고, 산업이 고도화되지 않아 얼마나 부족한지에 대해 논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한 전문가는 “국내에서도 AI 관련 기술 인력들이 배출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국내에 머물지 않고 미국, 유럽, 중국행을 택한다. 이들 국가는 상대적으로 AI 산업이 활성화돼 사람도 많이 뽑고, 연구 및 실무 경험의 기회도 많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 AI 산업은 아직 시작 단계에 있어 상용화 기술도 많지 않아 그들에게는 매력적인 시장이 아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AI 전문 인력 양성 및 확보 방안으로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89.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재직자 AI 교육(75.0%)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 ▲국내외 AI 기업 인수(17.9%) ▲해외 연구소 설립 또는 인수(17.9%) 등이 뒤를 이었다.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선도 기업을 비롯해 삼성전자, 네이버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은 즉시 협업이 가능한 연구진을 보유한 국내외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 연구소 설립을 통해 연지 기술 전문가 채용으로 AI 기술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대학 인재 확보를 위해 산학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한편, 사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직원들을 재교육하는 등 AI 실무형 인재육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학·연 전문가들은 AI 인력 확보에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 ▲실무형 기술인력 부족(36.7%)을 가장 많이 지적했고, ▲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려움(25.5%) ▲전문 교육기관 및 교수 부족(22.2%) ▲예산 지원, 규제 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6.7%) ▲근로시간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6.7%) 등 순이었다.

 

산업계 전문가는 채용 시 기업이 요구하는 AI 기술 수준과 지원 인력과는 괴리가 있어 채용 후에도 재교육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얼운 점도 인력 확보의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A기업은 AI 인력 채용 공고를 내도 설계부터 어떤 알고리즘을 쓸지 판단해서 구현까지 할 수 있는 전문가를 원하지만, 지원하는 사람들은 서버 구축, 솔루션 도입 등 인프라 관련 전문가들이 많다고 했다.

 

B기업은 해외 인재 채용 설명회를 나가도 기본 기대치가 5억원 정도라 국내 기업 연봉과는 격차가 크다며 교수 등 실력이 검증된 인력이라면 협상의 여지가 있지만, 졸업생의 경우는 기업도 리스크가 커 매치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AI 인재육성을 위한 개선과제에 대해 전문가들은 ▲AI 교육 인프라 확대(37.8%)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AI 인재육성은 장기간의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는 정책이므로, 초·중·고교와 학부에서도 STEM(Science, Technology, Engneering, Mathematics, 미국 교육 정책 중 과학기술 분야 인재 확보를 위한 융합 교육을 의미) 또는 AI 관련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해 기초교육 기반을 강화애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데이터 활용규제, AI 전공 교수겸직 제한 등 기술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 완화(21.1%) ▲AI 기술 관련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의 AI 인재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투자 확대(13.3%)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우선순위를 가릴 것 없이 모두 필요하다는 의견과 기업 대표의 마인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AI가 4차 산업 시대에 새로운 성장 동력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인력 부족률이 60.6%에 달해 산업계의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서 “기업과 대학이 실무형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AI 교육 인프라를 확대해 심각한 청년 실업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정부 “의대 정원 확대는 불변”... 의협 차기회장 “대정부 강경투쟁”
대한의사협회가 임현택 차기 협회장을 중심으로 대정부 강경 투쟁에 나설 전망인 가운데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가 의료 정상화의 필요조건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27일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27년 만의 의대 정원 확대는 의료 정상화를 시작하는 필요조건”이라며 “의대 정원을 늘려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의사 수를 확충해야한다" 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의사들은 갈등을 멈추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 의료 정상화 방안을 발전시키는데 함께 해달라"고 말하며 "의대 교수들은 전공의들이 하루빨리 복귀하도록 설득해주고 정부와 대화에 적극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전공의에 이어 의대 교수들마저 사직서 제출이 이어지면서 의료 공백이 심화할 것으로 보인데. 그런 가운데 정부는 공중보건의사(공보의)와 군의관 200명이 현장에 추가로 투입할 예정이다. 한편, 임현택 의협 차기 회장 당선인은 "전공의 등이 한 명이라도 다치면 총파업을 하겠다"며 강경대응 입장을 굽히지 않아 의정 간 갈등이 쉽게 끝나지 않을 전망이다. 26일 결선투표에서 당선된 임현택 회장의 임기는 오는 5월 1일부터지만, 의대 입학정원 증원에 반발해 꾸려진 의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