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환율이 끌어올린 수출입물가 급등…4개월 연속 상승

2024.05.15 15:08:54

- 수출물가지수 4.1%↑·수입물가지수 3.9%↑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수출입물가가 4개월 연속 동반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 통계에 따르면, 4월 기준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2.17를 기록했다. 전달 3월(126.94)과 비교하면 4.1% 높은 수준이다.

 

 

수출물가지수는 넉 달 연속 올랐다. 4월 증가율(4.1%)의 경우 지난 2022년 3월6.2%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이는 원·달러 환율 및 국제유가가 상승한 영향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3월 1330.70원에서 1367.83원으로 2.8% 상승했다. 두바이유가는 배럴당 84.18달러에서 89.17달러로 5.9% 상승했다. 컴퓨터·전자·광학기기 7.3%, 화학제품 3.3% 등이 오르면서 수출 물가를 끌어올렸다. 반면 농림수산품은 2.5% 하락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D램 16.4%, 플래시메모리 11.4%, 휘발유 9.2%, 자일렌 6.1% 등이 크게 올랐다.

 

수출물가지수는 132.17로 전월대비 4.1% 올랐다. 4개월 연속 오름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6.2% 올라 넉달 째 상승했다.

 

용도별로는 수입 원재료가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5.5% 올랐으며, 중간재도 1차 금속제품 6.2%, 컴퓨터·전자·광학기기 등 5.6%가 올라 전월 보다 3.7%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는 환율 상승 등 영향으로 각각 전월 대비 1.9%씩 올랐다.

 

커피 원두는 한 달 전보다 14.6% 올랐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46.7% 상승했다. 원유 8.9%, 쇠고기 6.2% 등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밖에 동정련품(12.4%), 알루미늄정련품(12.5%), 액정표시장치용 부품(7.8%), 산업용 액체 펌프(10.8%)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수입물가는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인플레이션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달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은 하락하고 수출가격은 상승한 영향으로 전년 동월대비 5.2% 올랐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정영훈 객원 기자 banquest@naver.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