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尹 국군의날 기념사’ 두고 “국가에 헌신하는 청년들 억장 무너진다”

  • 등록 2024.10.02 08:43:43
크게보기

국힘 “국가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에게 다양한 노력 기울이고 있어”
민주 “尹정권, 故 채 해병 사망 사건의 진상규명을 온몸으로 막고 있는가”

건군 76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이 어제(1일) '강한 국군, 국민과 함께'라는 주제로 열렸다.

 

윤석열 대통령은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76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북한이 핵무기 사용을 기도한다면, 우리 군과 한미동맹의 결연하고 압도적인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그날이 바로 북한 정권 종말의 날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 대통령은 장 “우리 장병들이 임무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의식주와 의료체계를 비롯한 제반 복무환경을 계속 개선하겠다”며 “군복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헌신에 합당한 처우를 보장할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군의 노력도 필요하다. 젊은 장병들이 확고한 국가관과 대적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장병들이 투철한 정신 무장과 전우애로 단결하고, 실전적 교육으로 단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의 국군의날 기념사를 두고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대한민국 청년들의 억장이 무너진다”며 “윤 대통령의 말마따나 강군 육성은 장병들의 사기에서 출발한다. 장병들이 자부심을 갖고 임무에 전념할 수 있어야 한다. 군복무에 자긍심을 갖고, 국가를 위한 헌신에 합당한 존중과 처우를 받아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체 왜 윤석열 정권은 故 채 해병 사망사건의 진상규명을 온몸으로 막고 있는가”라고 캐물었다.

 

윤종군 민주당 원내대변인 서면 브리핑에서 “‘국가적 재난 재해’에 수해 현장으로 달려간 국군 장병이 무능한 지휘관의 치적 쌓기를 위해 위험한 작전에 동원되었다가 목숨을 잃었다”며 “입대할 때는 ‘국가의 아들’이라더니 국가의 명령으로 다치거나 목숨을 잃으면 싸늘하게 외면하는 정부의 태도에 분노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종군 대변인은 “하물며 하지 않아도 될 위험천만한 일에 부당하게 투입되어 목숨을 잃자 대통령이 국가권력을 총동원해서 진상을 숨기려는 모습을 보면서 어떻게 군 장병의 사기가 오를 수 있는가”라고 비판했다.

 

윤 대변인은 “채 해병이, 이 땅의 수많은 청년들이 헌법이 부여한 의무를 다한 것처럼 윤 대통령 역시 헌법적 의무를 다하라”며 “장병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 처벌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국군의 위용과는 별개로 대통령의 자기 과시를 위해 동원된 국군 장병들의 모습은 안타깝다”며 “휴일을 맞아 시내로 나들이를 나간 국민들도 많은 불편을 겪었다. 이것이 국군 장병과 국민을 대하는 대통령의 태도인가. 한심하기 이를 데 없다”고 일갈했다.

 

한편 국민의힘도 논평을 내고 “굳건한 안보는 튼튼한 국방력의 토대 위에 세워진다”며 “국민의힘과 윤 정부는 정예 선진강군 육성과 한미동맹 강화, 장병 복무여건 개선에 박차를 가해왔다”고 밝혔다.

 

한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이 합당한 보상과 예우를 받고 자부심을 느끼실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특히, 순직 군인의 추서된 계급에 따라 유족들에게 유족연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군인사법 개정안’과 ‘군인재해보상법 개정안’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국민의힘이 더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국민의힘은 장병들의 더 나은 복무여건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국가를 위해 헌신한 모든 이들이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최동환 기자 photo7298@m-e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