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5조7,000억원 증가로 가파른 상승폭이 꺾이고 한국은행이 3년 2개월 만에 통화정책이 완화 쪽으로 돌아섰다. 하지만 서울 등 수도권 집값과 가계대출 등 금융 불안의 불씨가 남아있다. 이에 전문가들 향후 한국은행이 당장 다음 달 추가 금리 인하 없이 해를 넘길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천135조7,000억원으로 8월 말보다 5조7,000억원 늘었다. 증가 폭이 2021년 7월(9조7,000억원)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대였던 8월(9조3,000억원)보다 38.7%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은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 효과에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노력, 일시적·계절적 요인 등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증가 규모가 상당 폭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과 직결된 주택 구입 목적 개별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5대 은행에서 9월 한 달간 하루 평균 3,451억원 새로 취급됐다. 8월(3,596억원)보다 4%가량 적지만 추석 연휴 사흘을 빼면 평균 3,934억원으로 8월에 이어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다.
주택담보대출 중심의 가계대출 열풍이 완전히 가라앉았는지, 추세 전환을 확신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이창용 총재도 금융 안정 관련 통계에 대해 “9월 한 달이 금융 안정을 확인할 만큼 충분한 시간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2∼3개월 전의 주택 거래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 후행하는 측면이 있다. 7∼8월 거래의 영향으로 다음 달까지는 신규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대체로 한은이 이번 인하로 올해를 마무리하고, 내년 상반기에나 0.25%p씩 두 차례 정도 금리를 더 낮출 것으로 보고 있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에도 불구, 주택시장에 대한 우려로 금리 인하 여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연말까지 인하 폭은 0.25%p에 불과하고, 내년 상반기에도 0.25%p씩 두 차례만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미국 연준이 11월 큰 폭으로 금리를 내리지 않는 한, 한은은 11월에 동결할 것”이라며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이 전망하는 금리 수준을 표시한 점도표에서 내년 연말 금리 수준이 3.5%인 점을 고려하면 미국은 금리를 빨리 내릴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한은의 경우 내년에도 경제 상황을 봐가면서 0.25%p씩 한두차례정도 낮춰 내년 연말 금리는 2.75∼3.00% 수준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