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 11일 성남 판교에 있는 한화 미래기술연구소를 방문해 차세대 태양광 기술 연구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일정은 최근 정부의 조직개편 발표 이후 환경부 장관의 첫 공식 현장 행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국태양광산업협회(회장 박종환, 이하 협회)에 따르면 김성환 장관의 이번 현장 방문에는 HD현대에너지솔루션, 한화솔루션 등 국내 주요 셀·모듈 제조기업과 시공사, 협회 관계자들이 함께했으며 △연구소 신기술 소개 △차세대 태양광 모듈 및 소재 시연 △업계 및 협회 건의사항 청취 △정책 협력방안 논의 등이 진행됐다. 협회는 이번 행보가 단순한 현장 점검을 넘어 정부와 산업계가 함께 미래 청사진을 공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간담회에서 업계는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박종환 HD현대에너지솔루션 대표는 현장의 애로사항을 전달하며 정부의 정책적·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대표는 특히 “태양광 시공 분야를 포함한 산업 전반을 포괄하는 제도적 산업 플랫폼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는 현실을 언급하며, “이러한 플랫폼을 구축·정착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재열 한화솔루션 전무는 “시장 확대를 위해 발전사업자 대상 투자세액공제 제도 도입을 검토해 줄 것을 요청”하며 “또 모듈 및 셀 생산 기업에 대해서도 미국의 AMPC(첨단제조세액공제)와 유사한 제도를 마련해 초기 투자와 생산 활동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지선 신성이엔지 대표는 “국산 모듈과 부자재의 국산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뒷받침할 정책적 연구와 제도를 확대해 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제품 사용 촉진을 요청한다”며 “또 RE100 활용 과정에서 기업들이 겪는 금융 부담과 금리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국산 모듈 사용 시 금리 혜택과 세금 감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윤석규 아이솔라에너지 대표는 “산업단지 태양광이 에너지 수요 충족을 위한 핵심 수단”이라며 “태양광 활성화를 위해 법·제도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이어 “태양광 이미지 개선, 금융 지원, 기자재 규정 마련 등 산업단지 태양광 보급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함께 요청했다.
박종환 한국태양광산업협회 회장은 “태양광 산업은 국가 탄소중립 달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산업”이라며 “이번 현장 방문이 정책 실행과 산업계 간 협력을 가속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협회는 정부와 협력해 국내 태양광 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성환 장관은 “국내 태양광 산업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 한편, 국내 업체 기술력이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으며, “태양광을 포함한 재생에너지가 획기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국내 태양광 업체가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협회는 이번 현장 방문을 계기로 정부와 산업계 간 협력 기반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정책 건의와 소통을 이어가 국내 태양광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앞장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