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도시공사(iH)가 검단신도시에 친환경 신도시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추진한 ‘검단 휴먼에너지타운’ 사업이 좌초 위기에 처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허종식 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인천도시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1월 발주된 ‘검단신도시 휴먼에너지타운 타당성 검토 및 사업추진 전략 수립 용역’은 2023년 5월 16일자로 중단됐다. 해당 용역의 공정률은 98%에 달하지만, 2년 넘게 사업계획 재검토만 진행 중이다.
국토교통부는 2009년 검단신도시에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는 ‘친환경에너지타운’을 시범사업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검단신도시 공동사업시행자인 인천도시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검단신도시에 5개의 특별계획구역(커낼콤플렉스, 휴먼에너지타운, 넥스트콤플렉스, 워라벨빌리지, 스마트위드업)을 마련하면서 구체화됐다.

인천도시공사는 2020년 ‘휴먼에너지타운’ 관련 용역을 시작했으며, 2022년 12월 해당 사업계획(안)에 대해 검단신도시 개발계획(9차) 및 실시계획(8차) 변경 승인을 받았다.
지구단위계획에 반영된 휴먼에너지타운은 검단신도시 중앙호수공원 서측 15만6362㎡ 부지에 △공동주택(아파트, 830세대) △공동주택(연립, 316세대) △단독주택(80세대) △공원녹지 △연료전지발전소 등을 포함한 에너지 자립형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연료전지발전소로 단지 내 에너지를 자체 공급하고, 보행 및 자전거 중심도로를 도입해 ‘차 없는(Car-Free) 단지’를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인천도시공사는 휴먼에너지타운 사업이 중단된 이유에 대해 “연료전지발전소에 대한 주민 수용성 문제가 예상되는 데다, 시장 조사 결과 참여 의향을 밝힌 민간사업자가 한 곳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공사는 올해 안으로 사업화 방안을 재검토하고, 내년에 특별계획구역 계획 변경에 나설 예정이어서 검단신도시의 에너지 자립도시 계획이 사실상 백지화 기로에 서게 됐다. 이에 따라 신도시에 적용할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허종식 의원은 “에너지 절약형 도시 건설은 기후위기 시대에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사업성 분석과 함께 전문가·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에너지 자립형 주거단지 조성을 위한 실현 가능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