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저가 수출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국내 기업들이 수출 포트폴리오 전환 등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3일 발간한 '중국 저가 수출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달러 기준 수출단가는 2023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16개월 연속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8월에는 중국의 수출단가가 전년동월비 13.9% 하락하며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래 월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1~4월에도 수출단가가 전년 동기 대비 10.2% 하락하면서 주요국 대비 하락폭이 컸다. 하지만 같은 기간 수출물량은 8.7% 늘어나 중국의 저가 수출 밀어내기가 더욱 확산되는 모습이다. 해당 기간 주요국 수출단가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중국 -10.2% △미국 -1.7% △일본 -4.3% △신흥국 -4.8 △한국 -0.1 등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산업 생산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년 동월 대비 6% 내외의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위기로 인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지난 5월 기준 중국 사업 재고가 16조7000억위안(약 3176조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재고가 쌓이고 있다.
수출단가가 하락하면 수출물량은 늘어날 수 있지만 수출 채산성은 악화되는 게 일반적이다.
중국은 수출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약세와 낮은 생산자물가를 바탕으로 수출 채산성이 양호한 상황이다.
올해 1~4월 기준 중국의 수출채산성지수는 107.4로 2017~2021년 평균인 99.8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중국의 생산자물가증가율(전년동월비)도 2022년 10월부터 올해 6월까지 21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보고서는 중국이 안정된 수출 채산성과 저렴한 제조원가를 바탕으로 저가 수출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저가 수출은 우리 수출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중국의 저가 수출 확대로 해상운임이 상승하고 선복 확보가 어려워짐에 따라 우리 기업들의 물류 애로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반도체와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 항공운송 비중이 높은 5대 정보기술(IT) 품목을 제외한 우리 수출의 88.8%는 해상 운송에 의존하고 있어 중국의 저가 수출 확대에 따른 운임 상승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도원빈 무협 수석연구원은 "풍부한 광물 자원 기반의 수직계열화와 거대 내수 바탕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중국 기업은 수출단가를 계속 내릴 것"이라며 "우리 기업은 주요국의 대(對)중국 견제 속 기회를 찾고, 기술우위에 있는 프리미엄·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수출 품목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