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53% "일생에 자녀 없어도 상관없다"

  • 등록 2024.12.20 11:53:12
크게보기

19∼49세 가임연령대 성인 인식조사..."꼭 있어야" 10% 그쳐
결혼에 대한 인식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49.3%나

 

성인의 절반 이상이 일생에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일 전국의 만 19∼79세 남녀 4천명을 대상으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국민인식 및 가치관 조사를 공개했다. 보사연은 이날 서울 서초구 양재 엘타워에서 '저출산·고령사회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결혼, 출산, 세대 가치관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제36회 인구포럼을 열기도 했다.

출산 관련 인식을 조사한 결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해 '없어도 무관하다'는 답변이 전체의 52.6%로 과반이었다. 이어 '있는 게 없는 것보다 낫다'(30.2%), '꼭 있어야 한다'(10.3%), '모르겠다'(6.9%) 순이었다.

 

여성이거나 20대, 소득이 낮을 때 자녀에 대해 소극적인 편이었다. 여성의 63.5%, 19∼25세의 54.6%, 26∼29세의 57.2%가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했고, 월평균 근로소득이 300만원 미만일 때도 이러한 경향이 짙었다.

 

월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응답자의 59.5%, 100∼200만원 미만일 때 54.8%, 200∼300만원 미만일 때 55.6%가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답했다.

 

이상적 자녀 수는 평균 1.33명이었다. 2명이 49.1%, 무자녀(0명)가 30.1%, 1명이 14.4%, 3명 이상이 6.4% 순이다. 무자녀라고 응답한 비율은 여성, 25∼35세, 고졸 이하, 임시직 및 일용직, 미혼, 저소득 가구일수록 높았다.

 

추가 출산 계획이 없는 데에는 경제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ㅜ1순위는 '나 또는 배우자의 나이가 많아서'(20.5%)였지만 2, 3순위가 '양육비가 너무 높아서'(18.2%), '경제적 사정이 어려워서'(16.0%)로 지목되는 등 모두 경제적인 이유였다.

 

결혼에 대한 인식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중립이 49.3%로 절반에 가까웠다. '반드시 해야 한다'(4.7%), '하는 편이 좋다'(29.3%) 등 결혼에 긍정적인 답변은 34.0%로 나타났다. '하지 않는 게 낫다'는 부정적 답변은 14.8%였다.

 

결혼을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는 4점 만점에 만족할 만한 일자리(3.41점), 주택비용 마련(3.36점), 결혼 후에도 일 또는 학업을 그대로 할 수 있는 환경(3.31점)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했다.

결혼 준비 자금은 총 3억3천996만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이 중 주택 마련 자금이 2억5천517만원이었다.

 

연구를 담당한 김은정 부연구위원은 여성, 저소득, 20∼30대 청년층, 도시 지역 거주자일수록 결혼과 출산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인식했다"며 "일자리, 주거비, 양육비 등 경제적 이유가 결혼 및 출산 의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분석했다. 

 
심승수 기자 sss23@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