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해군성의 존 펠란(John C. Phelan) 장관과 백악관 예산관리국을 이끄는 러셀 보트(Russell Vought) 국장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필리조선소를 방문해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과 양국 간 조선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두 사람은 미국 조선산업 재건을 총괄하는 핵심 인사로,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신뢰를 받는 러셀 보트 국장은 ‘MASGA(Make Alliance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의 정책 설계 및 예산 조정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한미 간 관세협상이 타결되기 직전 이뤄졌으며,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두 인사의 현장 보고를 받은 후 협상 최종 결정을 내린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김동관 부회장과 데이비드 김 필리조선소 대표가 조선소 생산 설비와 교육훈련 공간을 직접 소개했고, 자동용접 설비 등 한국에서 이전된 주요 기술과 교육 시스템도 선보였다.
김 부회장은 “필리조선소를 기반으로 한화는 미국 내 신규 조선 인프라 확충, 인력 양성, MRO 기반 구축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한화는 미국 해군이 신뢰할 수 있는 전략 파트너가 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러셀 보트 국장은 현장 인터뷰에서 “한화가 지역사회와 조화를 이루며 운영 중인 점을 높이 평가한다”며 “기술 투자와 일자리 창출, 현지화 노력이 인상 깊다”고 말했다.
펠란 장관 역시 “미 해군의 핵심 과제는 조선 역량 복원이며, 필리조선소에서 실제 투자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직접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3개월 전 한화오션 거제조선소를 방문한 바 있으며, 당시는 유콘함의 MRO 공정을 직접 둘러보기도 했다.
한화는 지난해 필리조선소를 인수한 이후, 설비 현대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대적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2035년까지 연간 건조량을 현재의 10배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최근 들어 미 정계와 해군 고위 관계자들의 잇단 방문이 이어지면서, 필리조선소는 미국 내 조선산업 재건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