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복 80주년이자 일본 패전 80년이 된 15일,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각각 경축사와 추도사에서 한일 관계 개선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발언을 내놨다. 이번 발언들은 오는 23일로 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의 분위기를 한층 우호적으로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여전히 과거사 문제로 아픔을 겪는 분들이 많다”며 “일본 정부가 역사를 직시하고 양국 신뢰 훼손을 막기 위해 노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징용·위안부 문제처럼 일본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현안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일본은 경제 발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웃이자 동반자”라며 미래 지향적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를 바탕으로 셔틀 외교를 통해 일본 정상과 자주 만나 솔직히 대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일본 언론은 새 대통령이 첫 광복절에서 날선 비판을 자제하고 ‘동반자’라는 표현을 사용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같은 날, 이시바 총리는 일본 정부 주최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총리로서는 13년 만에 ‘전쟁의 반성’을 언급했다. “전쟁의 참화를 다시는 되풀이하지 않겠다”며 “그 반성과 교훈을 깊이 새겨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언론은 그의 발언이 기시다 전 총리의 ‘교훈’ 표현보다 한발 더 나아간 것으로 해석했다.
이시바 총리는 ‘아시아’나 ‘가해’ 같은 단어는 쓰지 않았으나, 보수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비판적인 역사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부친인 이시바 지로 전 자치상의 영향으로, 그는 오래전부터 “패전을 종전이라 부르면 본질을 흐린다”며 전쟁 원인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내주 열릴 정상회담에서는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가 경제·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 정치 지형 변화가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시바 총리가 퇴진할 경우 다카이치 사나에, 고이즈미 신지로 등 보수 성향 인사가 후임으로 오를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은 이날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또 우익 성향의 참정당 의원 18명도 집단 참배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