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28일, 지난 18일 정식 운항을 시작한 한강버스의 시민 탑승을 29일부터 10월 말까지 잠정 중단하고, 안전 확보를 위한 무승객 시범 운항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한강 최초로 친환경 전기·하이브리드 선박을 도입해 ‘수상 버스’ 개념의 대중교통을 출범시켰으나, 운항 열흘 만에 고장과 결함이 드러났다. 22일에는 전기 계통 이상으로, 26일에는 방향타 고장으로 운항이 멈추는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반복됐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운항 초기 최적화 과정에서 기술적·전기적 결함이 일부 발생했으나 즉각 복구 조치를 취했다”며 “승객 안전을 최우선하기 위해 시범 운항 기간을 두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시범 운항은 실제 운항 일정과 동일하게 하루 14회, 양방향 노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무승객 상태로 반복 운행한다. 이를 통해 ▲선박별 운항 데이터 축적 ▲날씨·상황별 대응 전략 강화 ▲부품 및 전기계통 안정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운항 인력의 숙련도 제고와 정비 체계 고도화도 병행한다. 정비 인력은 제작사 엔지니어와 협업해 선박별 맞춤 정비 방안을 마련하며, 선장과 기관장의 운항·서비스 능력 향상도 함께 추진된다.
이미 정기권을 구매한 시민에게는 5천원이 환불되며, 절차는 티머니 홈페이지와 앱, 문자 안내를 통해 진행된다.
시는 시범 운항을 마친 뒤에는 하이브리드·전기 선박을 추가 투입해 배차 간격을 줄이고 첫 운항 시간을 앞당기는 등 시민 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열흘간 약 2만5천명이 한강버스를 이용했으나, 더 안전하고 편안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기 위해 불가피하게 시범 운항을 결정했다”며 “체계적인 운항 점검을 통해 서울의 대표적 수상 교통수단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