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방정부 최초로 자체 구축한 생성형 인공지능 AI플랫폼을 행정 전반에 도입하며 디지털 혁신에 나섰다.
‘경기 생성형 AI플랫폼’은 국내 기업이 개발한 5개 AI 모델에 경기도 행정 데이터를 학습시켜, 도가 직접 통제하고 운영할 수 있는 독립적 시스템으로 구축됐다.
이를 통해 정보유출이나 개인정보 유출 걱정 없이 안전하게 활용 가능한 ‘소버린 AI’가 구현됐다.
이번 플랫폼은 행정 문서 작성, 자료 검색, 회의록 정리, 법규 및 심판 사례 분석 등 6개 분야의 업무를 지원하며,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자동화해 공무원이 창의적·전략적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 의사결정과 효율적 행정 운영도 가능해졌다.
플랫폼 개통을 기념해 4일 도청사에서 열린 토론회 ‘소버린 AI 방향을 묻다’에는 경기도 관계자와 KT,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오케스트로 등 AI 유니콘 기업이 참여해 공공영역의 AI 전환 전략과 데이터 관리, 소버린 AI 모델 구축 방안 등을 논의했다.
토론회에서는 AI 기반 인프라 구성, 국가대표 LLM 모델, 데이터 온톨로지 등 실질적 기술과 정책 방향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경기도는 시범운영을 통해 플랫폼 안정성과 활용성을 검증한 뒤, 향후 다양한 행정 수요와 도민 서비스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생성형 AI를 통한 혁신행정 추진으로 공무원이 창의적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이라며 “지방정부 최초 사례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AI 행정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