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540MW 대규모 ESS 입찰을 공고하면서, 전국 단위 ESS 사업이 본격 시작을 알렸다. 이는 2023년 제주에서 진행한 입찰 규모 65MW보다 8배 이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2일 육지 500MW, 제주 40MW 규모의 ESS입찰을 공고했다. ESS는 재생에너지 전력 수요를 초과하는 잉여전력을 저장한 뒤 수요가 높은 시간에 방전해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이고 출력제어를 줄일 수 있다.
이날 전력거래소가 발표한 입찰 공고에 따르면 육지 사업 참여자의 경우, 한국전력이 계통운영상 필요하다고 판단한 전북·전남·강원·경북 등 특정 변전소로 한정한다.
정부는 지난 2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해 ESS 도입 규모를 반영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ESS는 제주에서 육지까지 적용 지역을 확장한다. 또한 ESS 잉여전력 충전 가능 시간도 하루 4시간에서 6시간으로 늘어나 실제 설치 용량은 육지 3000MWh, 제주 240MWh에 육박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업에 수천억원에서 1조원대 투자비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입찰 참여는 다음달 2일부터 가능하며 전력거래소는 최종 낙찰자를 오는 7월 중 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