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이방인' 정착 방안 모색

  • 등록 2014.06.24 09:56:35
크게보기

쉽게 의사로 인정 vs 안될 말

최근 천재 탈북 의사가 우리 의사들과 어울리지 못하며 겪는 에피소드를 그린 드라마 <닥터 이방인>이 화제다.

 

지난 20일 국회에서는 <북한 이탈의료인 한국사회 정착지원 방안>을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를 공동주최한 신경림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북한 이탈 의료인들이 언어적 차이로 어려움을 겪는다"면서 "한국에서도 연속성을 갖고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춘진 위원장 내정자는 축사를 통해 "많은 탈북 의료인들이 왔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논의의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사 출신인 안홍준 의원은 "언젠가 통일이 됐을 때 북한 이탈 주민이 우리에게 큰 자산"이라며 "(탈북) 의료인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안 의원은 "기존 북한 의료면허 소지자라도 면허시험을 보긴 해야지만 언어적 이질성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 공동주최자인 건강사회운동본부 이수구 이사장은 "북한 이탈 의료인이 우리 사회에서 정착하는 과정을 들어보고 이를 통해 지원방안을 찾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첫 번째 발제자인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안효덕 생활안전부장은 "지난해까지 26,122명이 북한을 이탈했다"며 현재 하나원에서는 성인정규 프로그램으로 (1)정서안정 및 건강증진 (2)진로지도 및 직업훈련 (3)우리 사회의 이해 증진 (4)초기 정착지원 등을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안 부장에 따르면 북한 이탈 주민의 취업형태는 52.2%가 상용직이며, 제조업에 32.7%가 재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평균임금은 12년 기준 137만7천원으로, 평균 근속기간은 20.6개월로 나타났다. 아울러 고용률은 12년 기준 50%로 우리 국민의 59.7% 보다 낮았으며, 학업 중단률도 3.3%로 1%인 우리 국민 보다 높았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서울의대 통일의학센터 이왕재 소장은 "2012년 기준 탈북 의사 33명이 면허를 신청해 23명이 면허시험 응시자격을 인정받아 이중 8명이 국가고시에 합격했다"며 "문제는 이들 대부분 러시아어로 공부해 영어로 된 의학용어와 약자의 홍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욱이 북한 의사면허를 가지고 있더라도 국내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면허가 없어 간호사나 조무사로도 취업이 힘든 것이 사실"이라며 "2009년부터 20013년까지 서울의료원 의사국가고시 준비지원을 통해 의사고시 합격률이 73%에 달했고, 이를 토대로 지난해부터 재북 의사 경력자를 대상으로 '통일부 제2하나원 의사직업전환과정'을 운영 중"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다른 학습목표와 교육과정으로 공부와 임상에 임해왔던 이들이기에 이들에 대한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인턴 및 전공의 정원 확보가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마지막 발제자인 북한 이탈 의사인 최희란 씨는 "의사면허 시험에 응시하려고 하니 암담했다"며 "30년 동안 북한에서 의사로 일했지만 받아주는 곳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의학서적을 구입해서 보니 전부 영어로 쓰여 있어서 난감했다는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어 "북한 이탈 의료인 정착을 위해 (1)구술면접 시험 기준 마련 (2)체계적인 의사면허 시험 준비 필요 (3)의사면허 취득 이후 수련 및 취업관련 지원 사업 (4)전문의 수련과정 대안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첫 번째 토론자로 탈북 간호사인 주은혜 씨는 "러시아어와 라틴어로 북에서 공부한 후 탈북 해 중앙대에 편입해 다시 간호사로 활동하고 있다며 언어적 차이로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현재 북한은 우리와 달리 MRI나 CT 등은 없고 엑스레이 정도만 이용할 정도로 열악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탈북 간호사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각종 교육과 현장체험 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탈북 간호사 스스로 부단한 노력만이 우리 사회에 정착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토론자인 서울대 통일치의학협력센터 김종철 센터장은 학술교류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한 뒤 "북한에서 치과의사였는지 준의사나 보철사였는지 검증이 필요하다"며 "치과의사로 확인되면 시험을 보는데 있어서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강원대 의학전문대학원 강석훈 교수는 "현재  탈북 의사들에게 인체모형을 이용한 교육을 지원 중"이라고 말한 뒤 "2년간 교육을 해 본 결과 실기에 있어서는 분명히 실력이 늘긴 하지만 필기시험은 잘 못 본다"고 전했다. 또 연령에 따른 실력 차이도 상당하다고 덧붙였다.

 

네 번째 토론자인 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 이수정 교수는 "현재 하나원에서 시행 중인 많은 지원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북한 이탈 주민들을 '지원의 대상'으로만 바라보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한 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 정명현 원장은 통신교육으로 의사면허를 취득하는 북한 의사에게 쉽게 구술만으로 의사면허를 주는 것은 안 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탈북 의사의 학력이 인정되면 재교육을 통해 의사면허 시험을 볼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끝으로 통일부 제2하나원 정준희 원장은 "탈북자의 86%가 무직인 상태에서 건너왔는데 대부분 관리직을 원하는데다 3D 업종의 경우 동남아 노동자들이 대부분을 차지해 직업을 구하기 쉽지 않다"며 "현재 하나원에서 의사직업전환 교육에 2억5천만 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합격률은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 타 직종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간호사나 간호조무사에 대한 교육도 하겠다는 내용이다.

이경헌 기자 editor@icre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