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소식 톺아보기- 10월 3주차] 생성형 AI 확산 속도, 소비자 신뢰 낮아...D. 트럼프, 정치적 정적 기소

  • 등록 2025.10.19 00:53:16
크게보기

트럼프 대통령, 존 볼턴 전 국가안보보좌관 정치적 정적 기소 본격화
경매 대기업 소더비, 데이터 침해로 재무 정보 노출돼

‘M이코노미뉴스’에서 한 주간 놓치지 말아야 할 국내외 주요 IT 이슈 3가지를 선정, 요약해 보고자 합니다. 이번 주에는 생성형 AI의 확산 속도는 빠르지만 소비자 신뢰는 여전히 낮다는 소식, 트럼프 대통령이 정치적 정적 기소를 본격화했다는 소식, 경매 대기업 소더비가 데이터 침해로 재무정보가 노출됐다는 소식 등 세 가지를 단신으로 소개합니다.

 

 

1. 생성형 AI 확산 속도, 소비자 신뢰는 여전히 낮아


딜로이트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생성형 AI의 사용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기술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부족하다. 응답자의 53%가 생성 AI를 사용 중이라고 답했지만, 69%는 기술 발전이 지나치게 빠르며 기업들이 위험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AI는 일상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지만, 정신 건강 악화, 중독, 정보 왜곡 등 부작용에 대한 인식도 함께 커지고 있다.


미국 씨넷의 보도에 따르면 생성 AI는 더 이상 무료로만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다. 응답자의 40%는 유료를 사용 중이며, 무료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들 가운데 절반은 무료 버전도 충분하다고 답했다. 사용 방식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5%)과 웹사이트(60%)가 주를 이루며, 소셜 미디어나 메시징 앱 등 간접 사용까지 포함하면 전체의 69%가 AI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우려는 AI의 정보 정확성과 프라이버시 문제다.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챗봇의 정보를 별도로 검증한다고 답했으며, 프라이버시와 보안 걱정은 전년대비 10% 증가했다. 특히 생체 인식, 통신, 금융 데이터는 공유를 꺼리는 경향이 강했고, 피트니스 데이터조차도 공유를 꺼리는 사람이 더 많았다. 소비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기업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으며, 기술 발전보다 개인정보 보호와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2. 트럼프 대통령, 정치적 정적 기소 본격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과 레티샤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 등 정치적 정적들을 기소하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최근에 존 볼턴(John Robert Bolton) 전 국가안보보좌관이 18건의 기밀 정보 유출 혐의로 기소됐다. 볼턴은 재직 중 개인 이메일을 통해 기밀 자료를 전송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해당 계정은 이란 정부에 의해 해킹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수사에서 비롯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의도가 개입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볼턴은 무죄를 주장하며, 그의 변호인은 해당 사건이 이미 수년 전 조사되어 종결된 사안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정적들에 대한 기소를 독려하는 등 정치적 동기를 숨기지 않았고, 이에 따라 법무부 내부에서도 기소를 둘러싼 압력이 있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볼턴 기소에는 경력 있는 검사들이 참여했지만, 트럼프의 개입은 기소의 정당성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기소가 유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볼턴이 기밀 정보를 부적절하게 다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입증해야 한다. 기소장에는 볼턴이 트럼프 행정부의 기밀 통신 방식에 대해 비판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그의 의도와 사건의 맥락을 보여주는 단서로 작용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법적 분쟁을 넘어, 권력 남용과 정치적 보복이라는 더 큰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3. 경매 대기업 소더비, 데이터 침해로 재무 정보 노출돼


국제 경매회사 소더비(Sotheby′s)는 올해 7월 24일 자사 시스템에서 발생한 해킹으로 인해 민감한 고객 정보가 유출됐음을 확인하고, 관련 개인들에게 통지했다. 유출된 정보에는 성명, 사회보장번호, 금융계좌 정보 등이 포함되며, 피해 범위 파악에는 약 두 달이 소요됐다. 현재까지 피해자 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미국 메인주와 로드아일랜드에서 각각 두 명이 언급됐다.


블리핑컴퓨터에 따르면 이번 사건의 배후로 특정 랜섬웨어 그룹은 지목되지 않았으나, 과거에도 크리스티 경매장의 50만명 고객정보 유출 사건이 있다. 소더비도 2017~2018년 웹사이트에 삽입된 악성 코드로 인해 결제 정보가 유출됐고, 2021년에는 공급망 공격으로 또 다른 보안 사고를 겪었다. 반복되는 보안 문제는 소더비의 정보 보호 체계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소더비는 이번 유출로 영향을 받은 고객들에게 트랜스유니온을 통한 12개월 무료 신원 보호 및 신용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90일 이내에 등록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현재까지 소더비는 공격의 세부 내용이나 전 세계 피해자 수에 대한 공식 답변을 내놓지 않았으며, 사건의 여파와 향후 대응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영명 기자 paulkim@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