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커리 카페 런던베이글뮤지엄(이하 런베뮤)의 20대 직원 과로사 의혹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가능성을 두고 기획감독에 착수한 가운데 유족과 회사 간에는 실제 근무시간을 둘러싼 입장차가 이어지고 있다. 유족들은 고인이 신규지점 개업 준비와 운영 업무 등을 병행하며 주 80시간 가까운 과로에 시달렸다고 주장했다. 런베뮤 측은 “과로사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면서도 근로시간 관련 자료 제공은 거부했다.
30일 국회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에서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런던베이글뮤지엄 인천점 청년노동자 사망사건을 언급하며 “한 달 단위 근로계약과 CCTV를 통한 상시 감시, 시말서 작성 등으로 노동자를 옥죄는 구조가 청년의 죽음을 불러왔다”고 질타했다.
정 의원은 “런던베이글뮤지엄 및 계열사에서 1달마다, 3달마다 쪼개기 계약을 했다는 복수의 제보를 받았다. 사실이라면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한 달짜리 계약은 노동자들을 매우 옥죄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이번 의혹과 관련해 “포괄임금제한 등 실노동시간 단축, 산업안전 점검 강화, 근로감독 인력 확충 등 실질적 제도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박창진 민주당 선임부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에서 “이번 죽음은 결코 개인의 불행이 아니다”라며 “여전히 일터 곳곳에 남아 있는 과로와 방치 그리고 안전 불감증이 만들어낸 구조적 참사이자 우리 사회의 경고”라고 지적했다.
정의당은 이날 런베뮤 안국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런베뮤은 청년 노동자의 과로사를 솔직하게 인정하고 그 책임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권영국 대표는 “사측은 고인이 끼니까지 거르며 일한 것이 고인의 선택이었다며 책임을 떠넘겼고, 뒤늦게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여전히 과로사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이에 앞서 강관구 런던베이글뮤지엄 대표는 지난 28일 회사 인스타그램을 통해 “당사의 부족한 대응으로 유족께 상처와 실망을 드린 점 깊이 반성하며 진심을 담아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강 대표는 “사건 초기 현장 운영 담당 인원의 대응을 회사가 상세히 파악하지 못했다”며 유족에게 부적절한 언행과 내부 입단속 정황이 드러난 점을 사과했다.
강 대표는 “신규 지점 오픈 업무는 특성상 일시적으로 업무 강도가 높다”고 인정했으나, 고인의 실제 근로시간 자료는 지문인식기기 오류로 확인이 불가하다고 밝혔다. 과로사 여부는 회사가 판단할 사안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과로사 사망의혹으로 고용노동부가 29일 근로감독에 착수한 런던베이글뮤지엄 사업장에서 발생한 산재 승인 건수가 2022년부터 올해 9월까지 63건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런던베이글뮤지엄 사업장 산재 현황’ 자료에 따르면 런던베이글뮤지엄은 2022년 1건, 2023년 12건, 2024년 29건, 2025년 9월 기준 21건의 산재가 신청됐고 전체건이 100% 승인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의원은 “젊은 청년들이 일하고 있는 카페에서 생각보다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며 “26살의 꽃다운 청년의 과로사 의혹으로 고용노동부가 해당 베이커리에 대한 기획감독을 실시하고 있는만큼, 안전한 노동환경 조성을 위해 작업장 안전과 관련한 추가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이번 사건과 관련해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에서 “여러 가지 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이러한 운영 방식이 기업 혁신이나 경영 혁신의 일환으로 포장돼 성공 사례로 회자되는 문화를 이번 기회에 반드시 발본색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