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김 생산량 6% 증가…김 값, 11월부터 하락세 전망

2024.06.13 15:53:23

올해 김(마른김 기준) 최종 생산량이 1억4천970만 속(한 속은 김 100장)으로 2023년산(1억4천126만 속)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마른김 도매가격은 지난 4월 월평균 가격이 작년 동기보다 80% 치솟아 한 속 당 1만원한 속당 1만원을 처음 돌파했다. 이달 들어 동원 F&B는 김 평균 가격을 15%가량 인상했다. CJ제일제당은 지난달 김 가격을 11∼30%, 광천김과 대천김, 성경식품도 주요 제품 가격을 약 10∼30% 인상했다.

 

 

정부는 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지난달부터 김에 대한 할당관세를 시행, 정부 합동 김 유통 질서 현장점검반을 운영하는 한편, 20% 할인지원 등의 대책과 함께 올 10월부터 즉시 생산 가능한 축구장 3800개 면적에 해당하는 신규 양식장 2,700ha(헥타르) 개발 등 다각적인 김 수급 안정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최근 김 가격 동향은 중도매인이 도매시장에서 경락(낙찰)받아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인 중도매인 판매가격의 경우 2월 1속당 7,809에서 3월 9,358원/속, 4월 1만413원/속으로 지속 상승했다가 5월에 들어 상승세가 둔화되기 시작해 5월 20일 이후로는 1만700원/속을 유지하고 있다.

 

KMI 수산업관측센터는 신규 양식장 개발과 생산시설 증가 등에 따라 내년 김 생산량은 올해보다 7.3% 증가한 1억6000속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김 도매가격은 11월부터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김 생산이 재개되는 10월까지 내수 공급 확대를 위해 현장과 긴밀하게 수시로 소통하고 유통질서 현장점검과 매점행위 등 부당한 가격교란 행위가 발견될 경우 엄정하게 대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영훈 객원 기자 banquest@naver.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