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 발전방안 모색

  • 등록 2013.07.03 15:55:14
크게보기

문화의 친밀성 바탕으로 한·중 인문유대 기대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으로 인해 한·중 간 관계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한·중 인문유대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국과 중국은 1992년 수교 이래 2008년에는 비동맹에서 가장 높은 단계인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항상 호혜적인 상황은 아니었다. 지난 2005년 강릉단오제 유네스코 등록을 두고 중국의 단오를 한국이 가져갔다면서 조성된 혐한론과 고구려 역사가 마치 중국의 역사인 냥 하는 동북공정설은 중국의 한국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 역사를 통해 갈등과 대립을 반복해온 한국과 중국이 동북아 평화를 만들어가는 새로운 관계 정립을 요구하는 시대가 서서히 도래하고 있다.

안치영, 장호준 인천대 교수는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합의한 공동선언의 핵심 내용 중의 하나인 ‘한·중 인문유대’가 역사적, 문화적 유대감이라는 무형의 공공외교 자산을 활용함으로써 양국이 ‘공존과 발전의 동반자’로서의 상호인식을 구체화하고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심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적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양국이 과거의 경험과 현재 그리고 미래의 비전을 포괄해 인문유대를 추진할 수 있는 영역으로, 민간교류사, 근대화 경험, 문화유산 등과 관련된 학술 부문, 기존에 체결된 양국 지방자치단체들 간의 결연관계를 심화 발전시킬 수 있는 지방 도시 간 교류 부문, 청소년 역사문화 기행, 한·중 인문학 후속세대 양성을 포함한 청소년과 교육 부문에서의 교류 강화를 제시했다.

김광억 연세대 석좌교수는 “인문은 문명세계, 문화수준은 교육을 말하는데 이러한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교류한 결과가 유대이고 인문교류를 활성화하면 유대감이 생기므로 유대는 상호작용적인 관계로 볼 수 있다”며 “문학, 역사, 철학을 통해 보편성 있는 가치관을 재발굴 하면서 유사성을 확대하고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인문유대”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안전을 보장하는 문명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서해교전, 어업문제 등 비대칭성을 극복하고 주권, 영토, 영해 침범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해양생태계를 구현할 수 있는 쿼터제 도입과 그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는 등 공동가치관 개발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인문유대는 인간다움이 최고로 실현되는 것

신정승 전 주중대사는 한중 인문유대의 배경과 전략적 가치, 동아시아와 국제 관계에서의 영향력에 대해 국가 간 관계를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우호적 감정과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함을 강조했다.

중국도 주변국 한국에 대해 동반자 관계를 강조하고 있고 중국이 서구의 사상이나 가치관을 대체하는 방안으로 한국과의 인문교류를 확대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기 때문에 ‘한‧중 인문유대’를 통해 양자 간의 이해가 높아지고 양국민 간의 호감도가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원식 인하대 교수는 한중 인문유대를 ‘동아시아공동체론’과의 관계 속에서 재조명하고 그 사회적 확산 방식에 대해 ‘한‧중 인문유대’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전시켜야 할 중요한 개념임을 강조하고 한중의 공통성보다는 서로 철저히 다르다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며 서로의 차이에 대한 존중이 바탕이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한‧중 인문유대’가 반북 연대, 반일 연대로 가서는 안 되며 한반도의 통일을 지향하고 한국이 중국과 일본을 화해시키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한‧중 인문유대’가 인간다움의 실현을 최고의 가치로 삼는데 한중이 노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치 경제가 아니라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소국주의를 추구하는 것이 갈등과 분쟁의 역사를 평화와 공존의 동아시아로 바꾸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민배 인천발전연구원 원장은 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와 활용 방안과 지방도시 간 교류의 중요성에 대해 ‘한‧중 인문유대’가 혐한문제, 탈북자 문제, 조선족 문제 등 양국 간 내부 문제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것이고, 한중의 행정 시스템의 차이에 대한 근본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이며 경제적인 측면에서가 아니라 문화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또한 양국 간 지역고유 자산을 보존하는 방안에 대한 협력이 필요하며 한자 문화권인 일본, 베트남을 포함해서 균형적 시각을 가지고 인문유대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현아 기자 / sha72@mbceconomy.com

 

송현아 기자 기자 meconomy@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