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전쟁 끝날까... 젤렌스키, 美 협정위해 사우디 도착

  • 등록 2025.03.11 09:49:33
크게보기

젤렌스키 대통령, 미국과 종전·광물협정 논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종전·광물협정 논의가 이뤄질 사우디아라비아에 도착했다.

 

사우디 국영 SPA 통신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이날 사우디 제다를 방문해 메카주(州) 부주지사 등 왕족들의 환대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이끄는 미국 대표단과 안드리 예르마크 대통령 비서실장 등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11일 회동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방안과 미국-우크라이나 광물협정 등을 주제로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이번 고위급 회동은 지난달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설전을 벌이며 충돌한 이후 처음이라는 점에서 양측이 갈등을 봉합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지 주목된다.

 

특히 광물협정을 두고 양측이 합의점에 이를지가 이번 회동의 성과를 가늠할 지표로 여겨진다. 미국은 그간 군사 지원 등의 대가로 우크라이나 영토 내 희토류 등 전략 광물을 요구해왔다. 우크라이나는 미국과 광물 공동 개발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더 나아가 개발 사업을 고리로 삼아 미국의 지속적인 안보 협력을 바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번 주에 많은 진전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며 "우리는 우크라이나가 뭔가를 진지하게 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루비오 국무장관도 사우디에 도착하기 전 기자들에게 우크라이나의 군사 원조 중단을 "해결" 하기를 희망한다며 낙관했다. 

 

우크라이나도 이번 회동에서 '부분 휴전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한 바 있다. 장거리 드론 및 미사일 공격과 흑해에서의 작전을 중단하는 대신 미국의 군사·정보 지원 중단을 해제해 달라는 일종의 절충안이다.

 

이는 휴전 협상의 선결 조건으로 '안전 보장'을 요구해 온 우크라이나의 기존 입장에서 한 걸음 물러선 것으로 평가된다.

 

 

권은주 기자 kwon@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