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 4047억달러 '세계 10위 뒷걸음'…5년 만에 최소

  • 등록 2025.05.08 10:44:09
크게보기

4월 한달간 50억달러↓...국민연금 외환스와프 거래,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영향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등이 겹치면서 4월 한달간 외환보유액이 50억달러 가까이 줄었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일시·계절적인 데다 최근 원/달러 환율도 하락세인 만큼 외환보유액이 4,000억달러 아래까지 기조적으로 내려갈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이 8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046억7천만달러(약 563조9,076억원)로, 3월 말(4,096억6,000만달러)보다 49억9,000만달러 감소했다.

작년 4월(59억9,000만달러) 이후 1년 만에 최대 폭 감소하면서 2020년 4월(4,049억8,000만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내려갔다.

 

이는 미국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난달 9일 주간 거래에서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1,487.6원까지 뛰는 등 불안한 환율 탓에 한은과의 스와프 계약을 통한 국민연금의 환 헤지(위험분산)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황문우 한은 외환회계팀장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가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분기 말 회계 비율 관리를 위해 유입된 외화예수금도 다시 빠져나가면서 외환보유액이 줄었다"면서도 "최근 원/달러 환율도 1,300원대로 다시 떨어지면서 국민연금의 환 헤지(위험분산) 필요성도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큰 만큼 외환보유액 감소를 걱정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3월 말 기준(4,097억달러)으로 세계 10위 수준이다. 2023년 8월 이후 올해 2월까지 9위를 유지하다가 한 단계 떨어졌다. 중국이 3조2천407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천725억달러)과 스위스(9천408억달러), 인도(6천683억달러), 러시아(6천474억달러), 대만(5천780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4천542억달러), 독일(4천355억달러), 홍콩(4천125억달러)이 뒤를 이었다.

심승수 기자 sss23@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