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합동조사단이 제주항공 참사 현장인 전남 무안국제공항을 찾아 사고 원인의 주요 쟁점으로 떠오른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을 살펴봤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31일 사고조사관 11명과 미국 측 관계자들로 합동조사단을 꾸려 무안공항 활주로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합동조사단에 참여한 미국 측 관계자들은 연방항공청(FAA) 소속 1명,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3명,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 관계자 4명 등 8명이다.
합동조사단은 새 떼 충돌 경고와 조난 요청이 오갔던 관제탑과 사고기 간 교신 기록 등도 확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여객기 반파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활주로 외곽 로컬라이저가 적절하게 설치 운영됐는지 등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에 따르면, 무안공항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2~3m 높이의 둔덕 안에 30~40cm 깊이로 심어져 있고, 지상으로도 7cm가량 튀어나와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사고기가 로컬라이저와 충돌한 뒤 반파돼 화염에 휩싸여 사고를 키웠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항공기 운항에 근접한 지점에 설치되는 모든 항행안전시설(NAVAIDS)은 가능한 한 ‘쉽게 부서지는(Frangible) 구조’여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미 합동조사단이 가장 먼저 방위각 시설을 살펴보고 있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조사권만 있는 항철위와 달리 수사권을 지닌 경찰도 사망자 수습이 마무리되고 본격적으로 진상규명 절차에 돌입하면 이 부분을 들여다볼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로컬라이저 적정성뿐만 아니라 조류 퇴치 인력과 장비의 운용 현황, 기체 점검 상태 등 제기된 모든 의혹을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참사 사흘째인 이날까지 희생자 179명 중 174명은 신원이 확인돼 DNA 분석, 검시·검안, 유족 인도 등 절차가 차례로 이뤄지고 있다. 나머지 5명은 DNA 정밀 분석을 통해 신원을 파악 중이다. 현재까지 희생자 4명만이 유족 품에 안겨 빈소로 옮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