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 1.7%↑ 그쳐...'SKT 사태'로 통신비 인하 영향

  • 등록 2025.09.02 10:10:11
크게보기

폭염·폭우에 농축수산물 4.8% 급상승...전기·가스·수도↑
관세청 "물가안정 저해요인 제거...부정 유통행위 차단"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1%대로 하락한 1.7%로 나타났다. 올해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같은 달보다 1.7% 오르는 데 그치며 전월(2.1%)보다 하락했다. 가공식품이 오르며 채소류 가격까지 급등했지만, 통신비 인하와 공공서비스 요금 하락이 전체 물가를 끌어내렸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45(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1.7%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물가는 지난해 대비 4.8% 올랐다. 농산물(2.7%)과 축산물(7.1%), 수산물(7.5%) 모두 상승했다.

 

곡물의 생산량과 제고량이 감소로 곡물 가격이 상승했고,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역시 1.9% 오르는 데 그쳤다. 생활물가지수는 1.5% 상승했으며, 신선식품지수는 2.1% 올라 전월(-0.5%) 대비 반등했다.

 

또 수산물의 경우 고등어(13.6%) 등의 가격 상승이 반영됐다. 반면 축산물은 돼지고기의 수입물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업제품은 1.7% 상승했고, 전기·가스·수도는 0.3% 오르는 데 그쳤다. 서비스 부문은 1.3% 상승했는데 개인서비스가 3.1% 오르며 전체 상승률을 견인한 반면, 공공서비스는 3.6% 하락해 물가 안정에 기여했다. 또 개인서비스 중 외식과 외식제외는 각각 3.1% 상승했다.

 

공공서비스와 8월 물가 상승률 둔화에는 통신비 인하 효과와 국제유가 하락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실제 8월 휴대전화 요금이 전년 대비 21%나 급락했다.

 

통신비 인하 원인 중 SK텔레콤이 해킹 사태로 대규모 가입자 이탈이 일어나자 8월 한 달간 2천만명이 넘는 전체 가입자의 통신 요금을 50% 감면에 따른 것이다.

 

한편, 물가 상승이 이어지는 가운데 관세청은 1일 ‘관세행정 물가안정 대응 TF’를 출범하고 종합대책을 마련·시행한다고 밝혔다. 물가상승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의 부담을 완화하고 정부 물가안정 시책을 총력 지원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 구조상 수입통관 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은 시중 유통단계에서 소비자 또는 생산자에게 전가되어 소비자 물가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통관 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수입가격의 왜곡을 차단하여 소비자 물가 안정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대책은 △통관단계 비용 절감, △물가안정품목 신속통관, △부정 유통행위 차단, △수입통관 데이터 분석·공개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아울러 기획재정부는 이번 물가 상황에 대해 "향후 물가는 이상기후 및 지정학적 요인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으로, 정부는 총력을 다해 체감물가 안정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며 "특히 국민 생활과 밀접한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해 주요 품목별 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변동 요인에 대해서는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상혁 기자 mbcmsh9369@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