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FC 온라인에서 ‘2025 아이콘매치 클래스’ 선봬

  • 등록 2025.09.08 10:20:05
크게보기

이달 13~1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서 ‘2025 아이콘매치’ 개최
신규 ‘2025 아이콘매치’ 클래스로 게임을 더욱 현실로 확장

 

넥슨(NEXON)이 ‘FC 온라인’에 ‘2025 아이콘매치(25IM) 클래스’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번 아이콘매치 클래스는 전직 월드클래스 축구 선수들을 중심으로 한 초대형 이벤트인 축구 친선 경기인 ‘2025 아이콘매치’ 개최를 이달 13일~14일 개최를 앞둔 가운데 공개됐다.


‘25IM 클래스’는 축구 팬들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레전드 선수들의 화려했던 전성기 시절을 세부 능력치로 구현해 플레이 경험을 강화했다. 이용자들은 ‘FC 온라인’ 게임 내에서 레전드 선수들로 스쿼드를 구성하고 자신만의 경기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다가오는 ‘2025 아이콘매치’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증폭시킨다.


그뿐만 아니라 실제 ‘2025 아이콘매치’ 경기 결과에 따라 ‘25IM 클래스’ 능력치가 상승될 예정이어서 지난해보다 이벤트 경기와 메인 매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출전 선수들은 게속 속에서 자신의 능력치가 과소평가된 것 같다는 아쉬움을 농담처럼 전하며, 실제 경기에서 이를 증명하겠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는 현실 이벤트와 게임을 긴밀히 연결하는 또 하나의 재미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25IM 클래스는 세계적으로 활약했던 레전드 선수들의 전성기 시절 기량을 세밀하게 반영해 현재 많은 이용자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레전드 선수들로 스쿼드를 구성하고 직접 조작하는 과정에서, 실제 과거 경기의 중계 방송을 보면서 느꼈던 감성을 다시 회상하는 등 게임을 또 다른 방법으로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2025 아이콘매치’ 실제 경기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진다.


특히 FC 스피어로 출전하는 브라질 호나우지뉴 선수는 현역 시절 대표적이었던 드리블과 볼 컨트롤 능력치가 강조됐으며 수준 높은 킥력으로 좌우 전환이 우수했던 만큼 긴패스 능력치가 호나우지뉴의 가장 최근 시즌인 BOD 클래스에 비해 향상됐다. 실드 유나이티드에서는 이탈리아 알레산드로 네스타의 태클 능력치가 네스타의 모든 클래스 중 가장 높게 출시되며 축구 역사상 가장 교과서적인 수준으로 평가받았던 현역 시절을 반영했다.


‘2025 아이콘매치’ 출전 선수들 가운데 공격과 수비 전천후로 뛰어난 활약을 펼쳤던 레전드 선수들도 이용자와 팬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현역 시절 활약을 반영해 공격수임에도 수비 능력치가 높게 책정됐거나 수비수임에도 특정 공격 지표가 강화된 선수들로, 게임에서도 전략적인 선택지로 주목받는 가운데 실제 경기에서도 능력치가 발휘될지 주목된다.


‘FC 스피어’ 선수 중 독일 슈바인슈타이거는 데뷔 초반 윙어로 활약했으나 독일 프로축구 분데스리가 명문팀 바이에른 뮌헨과 독일 국가대표팀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해 대인 수비, 태클, 가로채기 능력치가 높아졌다. 실드 유나이티드에서는 노르웨이의 좌풀백 욘 아르네 리세가 많은 활동량과 강력한 슛을 보여줘 높은 스테미너, 슛파워, 능력치를 선보여 좌측 미드필더로도 기용하는 등 공격적인 활용도 눈길을 끈다.


이번 신규 ‘2025 아이콘매치 클래스’에서는 13일에 진행되는 이벤트 매치, 14일에 진행되는 메인 매치 경기 결과에 따라 능력치가 상승하는 ‘라이브 퍼포먼스’가 적용된다. 이벤트 매치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미니 게임을 통해서 속력 및 가속력, 볼 컨트롤, 밸런스, 슛 파워, 중거리 슛 등 핵심 능력치가 3포인트씩 향상되며, 마지막의 ‘커브 챌린지’를 통해 커브 능력치가 5포인트 올라간다. 또 메인 매치 승리 팀은 선수 전체 능력치 1포인트가 올라간다.


넥슨 관계자는 “이번 ‘2025 아이콘매치 클래스’는 이용자분들이 게임과 실제 ‘아이콘매치’를 함께 즐기며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됐다”며 “경기 결과가 선수 능력치에 반영이 되는 만큼 13일 이벤트 매치와 14일 메인 매치 결과에 많은 기대 바란다”고 말했다.

김영명 기자 paulkim@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