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지역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늘어 나고 있다

  • 등록 2025.01.23 10:19:36
크게보기

- 2024년 수원시 출생아 수 전년보다8.97%증가
- 2024년 출생아6575명,전년보다541명 늘어나
- 혼인건수도 함께 늘어나고 있어 '청신호'

출산율 저하로 우리 사회곳곳에서 각종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출산율 저하로 학생수가 감소하다보니 농촌지역에서는 폐교학교는 늘어 나는등 더욱 심각하고 도시지역에서도 텅빈 교실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출산율 저하는 우리사회에 도미노 현상으로 다가오면서 출산율을 높히기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책마련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처럼 출산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수원지역에서 출생아수가 증가해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

 

2024년 수원시 출생아 수가 전년보다 8.97%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3.1%)의 3배 가까운 높은 수치다.

 

행정안전부가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이처럼 나온 것이다.

 

수원시에 따르면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분석한 결과 수원시 출생아 수는 6575명으로 2023년(6034명)보다 541명이 늘어났다"고 강조했다. 인구 100만 명 이상 특례시 중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수원시는 2024년 1월 저출생대응팀을, 올해 1월에는 여성가족국을 신설하는 등 저출생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각종 정책수립과 추진 등 시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수원시는 생애 25회 지원하던 난임부부 시술비를 지난해 11월부터 ‘출산당 25회(인공수정 5회, 체외수정 20회) 지원’으로 확대했다. 본인부담률은 45세 미만 30%, 45세 이상 50%였지만 연령 구분을 없애고 30%로 동일하게 지원한다.

 

수원새빛돌봄과 연계해 임신부를 대상으로 청소, 세탁 등 가사지원서비스도 제공해 나간다.

 

지난해 11월에는 ‘육아지원근무제’를 도입해 공무원들이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근무 여건을 만들었다. 육아지원근무제는 유연근무제를 확대 운영하고, 업무 대행 공무원에게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다.

 

 

이재준 시장은 “앞으로도 출산율을 더욱 높히기 위해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해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출생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시 차원에서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원지역에서는 지난 2022년 혼인건수가 5111건에서, 2023년 5523건으로 증가하는 등 결혼한 부부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수원지역에서 신생아들의 '울음'소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청신호'를 예고하고 있다.

 

 

경인 안영찬 기자 an9998@nate.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