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회담이 공개적인 고성 언쟁 속에 합의 없이 마무리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쟁 종전을 위한 협상을 밀어붙이는 가운데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공개적으로 설전을 벌이면서 충돌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지원없이 항전을 이어가기 어려운 우크라이나가 '양보'를 해서 조기에 종전을 이뤄야 한다는 입장을 개진했다. 러시아로부터 영토 침공을 당한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한 연대감 표현이나 대러시아 비판은 없었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협정 체결시 러시아의 재침공을 막기 위한 안전 보장 조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사실상 미국이 요구하는 대로 협정을 체결하지 않을 경우 협상에서 빠지겠다고 위협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을 신뢰할 수 없다며 계속 맞서자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J.D. 밴스 부통령까지 나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고마움을 모르고 무례하다며 강하게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개 충돌 이후 회담 일정을 조기 종료시켰으며 이에 따라 오찬을 겸한 후속 회담과 공동 기자회견은 물론 우크라이나가 트럼프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카드로 삼으려 했던 광물협정 서명도 불발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회담 불발 후 백악관을 떠난 직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정의롭고 항구적인 평화가 필요하다"며 우쿠라이나의 안전 보장 문제에서 쉽게 물러나지 않았다.

애초 두 정상간 신뢰 기반이 약한 상황에서, 트럼프에게 비위를 맞춘 프랑스, 독일 정상과는 결이 다른 젤렌스키의 완강한 태도는 트럼프의 신경을 건드렸고, 카메라가 돌아가고 있는 상황은 쇼맨십 강한 트럼프 대통령으로 하여금 더욱 강경한 입장을 쏟아내게 만들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지켜보는 자국민 앞에서 '기백'을 보여주긴 했으나 미국의 지지와 지원없이 러시아 항전을 장기간 이어가기는 어렵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대체적인 평가다.
유럽의 지원이 있지만 그 역시도 한계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영국과 프랑스가 종전이 되면 독자적으로 '평화유지군' 성격의 병력을 우크라이나에 보낼 수 있음을 피력했지만 미국의 정보 및 정찰 지원과 후방 지원 없이 러시아에 대한 억지력을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외교가는 보고 있다.
지난달 12일 트럼프-푸틴 간 전화통화 계기로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 개선 행보가 이어지는 가운데 유럽 및 우크라이나와 미국 사이의 균열 양상이 서로 엇박자를 내면서 종전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는 반응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