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다시 가시화되자, 한국 철강업계 양대 기업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전략적 협력을 통해 미국 현지 생산기지를 함께 구축하기로 했다. 경쟁자에서 동반자로 전환한 이들의 행보가 업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두 그룹은 21일 ‘철강 및 이차전지 소재 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현대제철이 미국 루이지애나에 계획 중인 전기로 제철소에 포스코가 지분 투자자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 제철소는 자동차용 강판 생산에 특화된 시설로, 연간 270만t 생산을 목표로 하며 2029년 상업 가동을 계획하고 있다.
이번 합작은 투자 부담이 컸던 현대제철과 북미 생산 거점을 확보해야 하는 포스코의 이해관계가 맞물린 결과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25% 철강 관세 회귀 가능성은 양사 모두에게 중대한 리스크로 작용해 협업의 배경이 됐다.
철강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결정을 '생존을 위한 전략적 전환'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모두 최근 글로벌 공급 과잉, 국내 수요 위축, 친환경 규제 강화 등으로 실적 부진을 겪는 가운데, 기존 경쟁 구도를 넘어선 협력이 불가피했다는 평가다.
이 협약은 철강 부문뿐 아니라 친환경 기술과 이차전지 소재 개발 등 전방위적인 파트너십 강화도 포함하고 있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중심으로 탄소중립 전환에 앞장서며, 현대차그룹은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모빌리티 전략을 뒷받침하게 된다.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도 양사는 포스코의 원재료부터 양·음극재 경쟁력과 현대차의 전기차 기술을 결합해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파트너십을 두고 “철강 업계의 위기의식이 만든 대전환”이라며, “이례적인 협력이지만 국내 산업계 전반에 큰 파급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