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게이트 조사단, 오세훈 압수수색 결정타 '명태균 서울행 티켓'

  • 등록 2025.03.28 16:08:34
크게보기

검찰 "명태균, 2021년 3월에도 오세훈에 여론조사 전달"
오세훈 측근, 시장 선거 당일도 명태균 만났다는 진술 확보

 

명태균게이트 진상조사단이 28일 “검찰은 명태균 씨가 서울시장 보궐선거 직전인 2021년 3월 오세훈 시장에게 여론조사 결과를 전달했다는 복수의 진술을 확보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게이트 진상조사단은 이날 뉴스타파 보도를 인용해 “오세훈 시장의 검찰 압수수색 결정타는 ‘명태균 서울행 항공’ 티켓이다. 오세훈 시장 측은 ‘2021년 2월 이후 명 씨와 관계를 끊었다’고 주장했지만 선거 당일까지 관계가 지속됐다는 복수의 진술,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항공권 티켓 내역에서는 명태균 씨는 계속해서 그 당시 오세훈 후보를 만나기 위해 서울행 항공권을 예매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진상조사단은 “명 씨의 항공권 예매 내역을 입수해 살펴본 결과, 명 씨는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총 14번에 걸쳐 비행기를 타고 서울에 가서 오세훈 시장을 만났다”며 “명 씨가 차를 몰고 서울로 간 적도 많다는 강혜경 씨의 증언에 따라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명태균씨가 서울로 향했던 횟수는 14차례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을 압수수색하기 사흘 전인 2025년 3월 17일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사건 전담수사팀은 강 씨로부터 2021년 서울시장 보궐 선거 당시 명 씨의 거주지인 김해에서 출발하여 김포로 향하는 항공권 예매 내역을 제출받았다”고 설명했다.

 

또 “김태열 전 소장의 증언에 의하면 ‘2021년 3월 19일에 명태균 씨와 함께 서울로 비행기를 타고 올라가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 근처 카페에서 강철원 전 부시장을 만났고,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셋이 30여분간 대화를 나눈 것으로 기억한다’고 검찰에 진술했다”고 했다.

 

이들은 김 전 소장과 강 전 부시장의 친분을 뒷받침해주는 정황도 있다면서 “김 전 소장 증언에 따르면 2000년, 오 시장이 16대 국회의원일 때, 김영선 의원의 사무실이 425호이고 그 맞은편이 오 시장의 사무실이었다”면서 “그당시 김영선 의원의 보좌관이었던 김 소장은 당시 오세훈 의원의 보좌관이었던 강철원 전 부시장과는 아주 가까운 사이였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장 재보궐선거 당일인 2021년 4월 7일에는 명태균, 김태열, 강혜경, 김영선 전 의원 등 4명이 모두 서울로 올라가서 오세훈의 당선을 축하해줬다고 한다”면서 “강혜경 씨는 ‘오 시장의 여론조사 비용을 대납한 의혹이 있는 김한정 씨를 오 시장 캠프에서 이날 처음 만났다’면서 ‘김 회장의 소개로 오 시장과 강철원 부시장을 만나 당선 축하 인사를 건넸다’고 한다”고 부연했다.

 

또 “‘김 회장이 오 시장에게 자신을 ‘미래한국연구소 부소장’이라고 소개시켜줬을 때 엄청 반갑게 맞아줬다’고 전했다”고 했다.

 

조사단은 오세훈 시장을 향해 “이제 더 이상 거짓 해명이 통하지 않는다”며 “처음에는 ‘2번 만난 것이 전부였다’, ‘명태균 씨와 연락한 일도 주고받은 일도 의견을 주고받을 일도 없었어요’라고 해명했다”면서 “명 씨가 4회 만났다고 검찰에 진술했고, 이에 대해 오 시장 측은 ‘1월 20일쯤 만난 것은 맞지만, 명 씨가 가져온 샘플이 부풀려져 있는 것을 보고 싸운 뒤로 관계를 끊었다’고 변명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3월 이후 명 씨의 서울행 항공권과 선거 당일의 만남까지 드러났다. 오 시장은 또 어떤 궤변을 내놓으시겠는가. 아니면 또 다른 거짓 해명을 하시겠는가”라고 힐난했다.

 

아울러 “오 시장이 명 씨에게 불법 여론조사를 의뢰했고, 그 비용을 김 씨가 대신 납부했다는 그간의 의혹이 점점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면서 “이 모든 불법적 행위의 정점에 선 이는 다름 아닌 오세훈 본인”이라고 꼬집었다.

 

끝으로 “검찰이 의지를 갖고 제대로만 수사한다면 지금까지 나온 모든 의혹들이 곧 사실로 밝혀질 것”이라면서 “오 시장은 더 이상 국민을 기만하지 말고, 즉각 서울시장 직에서 사퇴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최동환 기자 photo7298@m-e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