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가 13일 MBC 대주주이자 관리·감독기구인 방송문화진흥회(이하 방문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발언 최초 보도 등을 두고 정면 충돌했다.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과학기술정보방송통위원회 국감에서 "MBC는 최근 대통령의 뉴욕에서의 사적 발언을 날조하는 행위를 했다"며 "MBC의 정확하지 않은 보도, 논란되는 방송은 이번이 처음 아니다. 2008년 MB(이명박) 정권 시작 시점에 광우병 보도는 MBC 최대의 흑역사 중 하나"라고 꼬집었다.
이어 "MBC는 자신들이 정한 가이드라인, 제작준칙을 지키지 않은 것을 언론자유라고 주장하고, 정부·여당의 정당한 항의는 언론탄압이라고 왜곡하고 있다"며 "MBC는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아도 그만인가"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MBC의 보도는 권력 감시를 명분으로 특정 정당과 정파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모여 자기들이 정한 이념과 신념만이 절대선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이재명은 절대선이고 윤석열은 절대악인가"라고 했다.

국민의힘 간사인 박성중 의원은 "MBC가 그동안 정말 공정하게 보도했는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라"며 "서울시장 보궐선거, 대선 당시 민주당 선거캠프 조롱, 채널A 오보사건, 김건희 여사 학위논문 관련 경찰사칭, 자막 조작에 PD수첩 사고까지 공영방송이 아니라 막장 방송"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MBC 전임 사장과 박성제 사장은 MBC를 노영방송으로 만들었다"며 “초록은 동색이라고 ‘동종교배’도 아니고 그렇게 하면 안 된다. 전반적으로 검토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방송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특정 정당과 대통령실까지 나서서 MBC에 계속적으로 항의하는 것, 민영화부터 세무조사 압박까지 언론의 독립성을 침해하는 발언 아닌가"라며 "세무조사, 방문 시위 이런 것들이 공영방송, 특히 언론사의 독립성 유지에 도움된다고 생각하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언론사의 방송 보도가 과도했다면 언론중재위원회라는 제도도 있고 언론보도에 대해 가처분을 신청할 수도 있다"면서도 "이 사태가 조기에 해결되지 못하는 것은 15시간이나 늑장 대응한 김은혜 홍보수석과 본인들의 발언을 뒤집은 대통령실, 김은혜 수석 반론과 전혀 다른 의견을 냈던 몇몇 정치인들, 그리고 직접적인 언급 없이 뒤에서 이 사태 방관하고 있는 당사자인 윤 대통령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윤영찬 의원도 "TV조선 등 다른 언론사들도 다 똑같이 보도했는데 MBC만 딱 찍어서 탄압하는 것은 평상시 MBC에 가지고 있는 대통령실과 정부여당의 감정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2008년 광우병 보도 이후 겪었던 것처럼 MBC에 대한 또 다른 탄압의 서막이 울리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권태선 방문진 이사장은 "MBC가 사적 발언을 날조했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며 "148개 언론이 그렇게 듣고 그렇게 썼는데 MBC가 날조했다고 표현하는 것은 전체 보도경위를 살펴봤을 때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