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9명 “경제교육 필요하다”

  • 등록 2025.04.22 21:20:44
크게보기

-경제교육 필요한 시기 ‘사회초년생’ 77%로 가장 높아
-경기연구원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보고서 발간
-생활 밀착형 프로그램,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 체계적인 교육 필요

경제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연구원이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경기도민의 경제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연구원이 만 18~69세 경기도민 1천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91.3%가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실생활에서 중요한 경제적 의사결정(주택매매, 대출 등) 때문’이 71.5%, ‘개인의 경제적 안정과 발전을 위해’ 67.9%, ‘경제 여건과 상황이 계속 변화하고 있어서’ 61.3%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제 및 금융 피해 예방을 위해’ 52.1%도 주요한 이유로 꼽혔다.

 

경제지식 습득 경로로는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 온라인 매체’ 57.4%,‘TV, 라디오 등 방송매체’ 53%, ‘유튜브, 누리소통망(SNS) 등 소셜미디어’ 48.7% 순으로, 디지털 채널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시기는 ‘사회초년생 시기’ 77%, ‘청소년기’ 70.8%, ‘대학생 시기’ 52.9% 분포를 보여 경제적 독립을 준비하는 생애 초기에 실질적인 경제교육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경제교육이 가장 필요한 계층으로는 ‘저소득층’이 82.6%로 제일 높았고, ‘한부모가정’ 56.9%, ‘소상공인’ 51.9%, ‘다문화가정’ 38.6% 순으로 경제적 피해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계층에 집중됐다.

 

실제로 전세사기나 금융사기, 불법사금융 피해 이후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다고 답한 비율은 83.0%에 달했지만 이수 경험은 32.1%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41.7%는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 지식 함양’을 경제교육 기관의 목표로 꼽았다.
 


설문을 바탕으로 보고서는 경기도 경제교육의 전략으로 ▲실생활 밀착형 경제교육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 ▲체계적인 경제교육을 도출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내용을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경제교육을 구성하고, 온라인 플랫폼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 필요성도 함께 제시됐다.

 

특히 취약계층은 경제적 피해에 상대적으로 쉽게 노출되는 만큼 경제교육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관건이다. 경제교육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교육자료를 표준화하며 효과성 평가를 체계적으로 도입하는 등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체계 마련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에서 모든 경제교육을 직접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경기지역경제교육센터 등 외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보다 효율적인 경제교육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자영 기자 aajjyy999@naver.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