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LH·민간건설사 모두 산재 3배 이상 '급증'

  • 등록 2022.10.21 09:30:59
크게보기

 

최근 5년간 LH와 민간건설사의 건설현장 산재가 모두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경남 김해갑)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아 21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17~2021년)간 LH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는 모두 1,007명으로, 이 중 사망자는 32명, 부상자는 975명에 달했다.

 

연도별 LH 건설현장 재해자수는 ▲2017년 98명(사망 8명, 부상 90명), ▲2018년 188명(사망 12명, 부상 176명), ▲2019년 219명(사망 4명, 부상 215명), ▲2020년 203명(사망 6명, 부상 197명), ▲2021년 299명(사망 2명, 부상 297명)으로, 최근 5년새 건설현장 재해자가 3.1배 급증했다. 2022년 1월부터 8월까지 집계된 LH 건설현장 재해자수는 127명(사망 2명, 부상 125명)이었다.

 

특히 LH뿐만 아니라 민간건설사의 산재인정 건수도 최근 5년(2017~2021년)간 2.8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민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상위 20개 건설사의 산재인정 건수는 최근 5년간(2017~2021년) 모두 1만 600건으로, 연도별로는 ▲2017년 1,050건, ▲2018년 1,807건, ▲2019년 2,243건, ▲2020년 2,593년, ▲2021년 2,907건이었다.

 

최근 5년간 산재인정 건수가 가장 많았던 상위 10개 건설사는 ▲GS건설(1,870건), ▲대우건설(1,254건), ▲DL이앤씨(808건), ▲현대건설(782건), ▲삼성물산(742건), ▲롯데건설(699건), ▲SK에코플랜트(660건), ▲한화건설(541건), ▲계룡건설산업(472건), ▲포스코건설(381건)이었다.

 

한편, 이 중 삼성물산은 2022년 시공능력평가에서 1위를 받았으며, 뒤이어 현대건설이 시공능력평가 2위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민 의원은 “공공과 민간 구분없이 건설현장에서의 산재 발생이 크게 늘었다”며 “건설현장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보다 철저히 구축하고, 건설현장의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꾸준한 점검과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홍기 기자 phk9808@naver.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