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재개발 ‘수의계약’ 행진, 조합원 ‘경쟁입찰’ 원하지만
최근 도시정비사업 입찰에서 거의 대부분이 수의계약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는 건설사들이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출혈이 심한 경쟁입찰을 피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9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집계된 정비사업 수주 규모 순위에서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7조828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현대건설 5조5357억원, 포스코이앤씨 5조302억원, GS건설 4조1522억원, 롯데건설 2조9521억원, HDC현대산업개발 2조8272억원, DL이앤씨 2조6830억원, 대우건설 1조1162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1위에서 5위 중 삼성물산은 총 11건 수주 중 2건(한남4구역·개포우성7차)을 제외하고 모두 수의계약(단독입찰)이다. 현대건설은 7건 모두 수의계약했다. 포스코이앤씨도 5건을 수주했지만 경쟁입찰은 성남 은행주공아파트 재건축 사업 뿐이었다. 롯데건설은 수주한 6건 모두 수의계약이다. 그동안 건설사들은 원자재 가격, 인건비 등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낮아지는 어려움을 겪어왔다. 과거와는 달리 마케팅 등으로 출혈이 심한 입찰 경쟁을 자제하는 선별적 수주전략을 펼쳐왔다. 하지만 입지가 좋고 사업성이 뛰어난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