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M-R&D】'한국'과 '조선'

【M-R&D】는 M이코노미 독자에게 제공하는 독서(Reading)와 토론(Debating) 공간입니다.

2016년은 우리 민족이 일본 식민지에서 해방되어 정신적, 문화적 활동인 민족교육을 본격적으로 실시한 지 70년이 되는 해였다. 일본의 전후사(戰後史)는 해방 후 일본 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차별과 배제의 대상이었던 재일 한국인의 삶 그 자체였으므로 마치 ‘황야의 70년’과도 같았다. 하지만 ‘황야의 70년’은 재일 한국인의 부(負)의 연쇄가 단절되고 새로운 미래를 출발하는 스타트라인이 되어야 한다.

 

벌린(Isaiah Berlin)이 20세기 인류사의 형성에서 가장 영향을 미친 두 요인을 ‘자연과학과 기술의 발전’과 ‘이데올로기의 대폭풍’이라고 하였듯이, 70년이라는 기간에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심리적, 물질적으로 너무 크게 변화하였다.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경쟁, 재편성으로 세계사의 지형도 많이 변화하였다. 국가 중심적, 영토 한정적 지배 관계는 탈 중심적․탈 영토적 지배 관계가 통용되는 글로벌사회로 변했다.

 

한편 국민국가를 견고히 하려는 내셔널리즘도 만연하고 있다. 우리가 혼란스러운 것은 국제사회의 탈 중심적․ 탈 영토적 지배 관계의 추상성보다 현실 세계의 내셔널리즘이 우리 일상생활의 행동양식과 활동을 더 제약하는 실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정책에 의해 역사적으로 운명 지어진 일본 사회의 한민족 공동체로서 재일 한국인의 차별과 배제를 규정짓는 내셔널리즘의 카테고리에서 글로벌사회는 아직 체감할 수 없는 실재가 되어있다.

 

재일 한국인은 본래 언어의 공통성, 지리조건의 공통성, 경제생활의 공통성, 문화의 공통성 속의 삶이 운명이었을 것이다. 같은 스타일의 옷을 입고 같은 재료로 같은 모양과 같은 맛을 가진 음식을 먹으면서 다른 문화로부터 고유성을 유지하면서 살아가는 운명이었으리라. 그러나 일본 식민지 정책으로 다른 언어, 다른 역사, 다른 문화가 지배하는 사회의 소수자가 되어 일본이라는 지리공간을 운명적 생활공간으로 하게 되었다. 독립한 민족 집단으로서 존재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국민국가 체제 안에서 저항과 동화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한계 상황에서 아이덴티티의 갈등과 무거운 선택의 기회에 있는 한계인이기도 하다.

 

『민족교육』 프롤로그 중에서

 

재일동포는 지지하는 국가와 정치적 이념에 따라 분열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아니면 ‘북한’이라는 이자택일로 단정하여 재일 한국인 사회를 이해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일본의 문헌이나 기록에서 종종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중립계’ 또는 ‘통일계’ 등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서류상 국적만 가지는 경우도 있으며, 부부 간에도 한국 국적과 북한 국적으로 나뉘어져 있는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민족이 정치적, 사상적 이념에 따라 분열을 지속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일본 사회에서 독립성과 고유성을 가진 주체로서 발전해갈 것인가는 ‘황야의 70년’을 극복하는 데에 있어 우선적 과제이다.

 

아울러 지금까지는 민족이라는 추상적이고 이완된 동일성보다 정치적, 사상적 신조가 우선시되어 그 분리가 남북의 정치적 변화나 경제적 상황에 따라 유동화적인 동태적 과정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 재일 한국인 사회라는 점도 자각하여야 한다.

 

일본에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재일 조선인총연합회가 있는데, 두 단체의 명칭에서 나타나 있듯이 ‘대한민국’(한국)과 ‘조선’이라는 호칭은 일본 사회에서 대립되는 개념이며 정치성이 표면화되어 있는 용어이기도 하다.

 

1947년 8월부터 9월에 걸쳐 전면적으로 실시된 외국인 등록에서 국적이 ‘조선’으로 표기되었지만 그 후 한국 정부 및 민단의 요청에 의하여 제1회 변경 시점(변경 기한은 3년)이었던 1950년 이후 ‘조선’에서 ‘한국’으로 국적 표시를 변경하는 재일동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일본인들 사이에서는 재일동포에 대한 호칭이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다. 1965년 재일 한국인 법적지위협정이 체결되어 국교가 정상화되고, 아시안게임과 서울올림픽 등으로 한국의 국력이 상승하고 한일 월드컵 공동개최 등의 협력적 관계와 국제적 국가 위상 변화를 계기로 ‘재일 한국인’ 또는 ‘한국인’의 호칭이 일반화되었다.

 

일본인들의 호칭이 한국 지향으로 변한 것은 자유민주주의를 정치이념으로 하는 일본에서 총련의 정치성 성향은 이질성이 강하고, 특히 북한과는 국교가 없는데다 일본인 납치 문제, 해방 후 총련계 조선학교의 저항적 태도 등이 일본인들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

 

일본 사회에서 민족단체가 정치적으로 분리된 현실에서 ‘한국’이라고 하면 대한민국을 지지하는 민단계를 지칭하고 ‘조선’이라고 하면 북한(정식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하는 총련계로 인식되어 자기 행동을 제약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해두고 싶다.

 

이 글에서 대부분을 ‘재일 한국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일본에 재류하는 우리 민족을 통칭하는 용어로 재일동포가 일반화되어 있지만, 아이덴티티의 동일성에 기반을 둔 추상적 용어이다. 재일동포이니 재일교포이니 하는 용어들이 일본에 살고 있는 한반도 출신을 의미하는 것이지 행정 용어 등의 의도된 호칭이 아니라는 점이다.

 

문제는 위에서 소개한 NHK의 한글강좌의 사례에서도 나타났듯이 ‘한국’, ‘조선’이라는 두 개의 용법이다. 본래 ‘한국’이니 ‘조선’이니 하는 용어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정치성이 배제된 중립적 용어이지만 1948년 남북한이 각각 정부를 수립하면서 이데올로기가 포함된 용어로 변질되어 있다.

 

호칭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면 일본 사회에서 ‘재일 한국인’이라는 용어는 1952년부터 등장하였다(《每日新聞》 1952년 10월 17일). 그 이전에 이승만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할 때 치안 문제와 관련하여 “금번 비상경계에 대하여 미국 치안관들의 두통거리가 되어있는 것은 일본인들이 아니다. 오히려 소련 통제하의 북한 인민정부를 지지하고 있는 다수의 재일 한국인이다”라고 한국 언론이 ‘재일 한국인’으로 호칭한 사례는 있다(《동아일보》 1948년 10월 20일).

 

 

1950년대 후반에는 민단계 재일동포를 ‘재일 한국인’이라는 하고 총련계는 ‘재일 조선인’으로 사용하였다(《每日新聞》 1959년 6월 21일). 그 후 1970년대 후반 언론에 ‘재일 한국인․조선인’이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그 당시의 호칭은 특별한 의미를 가졌기보다는 민단계와 총련계의 합동적 행동에 대한 통합적 호칭으로 ‘재일 한국인․조선인’을 표기하였다(1979년 10월 20일 《每日新聞》은 ‘재일 한국인․조선인의 인권 옹호 호소 대표단이 방미’라는 제목의 글을 싣고 있다).

 

다른 용어로는 근년에 생긴 호칭으로 ‘재일코리안’이 있는데 (《日本経済新聞》 1990년 8월 10일), ‘재일 한국인․조선인’이 일본 국적을 취득하지 않는 재일동포를 의미하는 용법으로 쓰이고 있는 것과는 달리 ‘재일코리안’은 일본에 귀화한 재일동포까지도 포괄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정치적 대립만큼이나 호칭에 민감한 양쪽을 포괄하는 중립적인 용어로 종종 ‘재일코리안’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왜 ‘재일코리안’이라는 호칭이 범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한국 정부의 정책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 ‘코리안’이라는 용어는 외국에 거주하는 민족의 호칭으로 1923년경에 언론에 등장한다(1921년 12월 26일 《동아일보》는 하와이의 우리 국민의 생활상을 소개하면서 ‘코리안’으로 호칭하였다). 그러나 해외에 있는 국민의 의미로 ‘코리안’이 사용된 것은 1980년대 이후의 일로 ‘코리안의 날’ 등 긍정적인 용어로 쓰이기도 하였지만 ‘어글리 코리안’ 등 부정적인 용어로도 사용되었다(《경향신문》 1983년 2월 3일).

1980년대 이후 소련 연방의 해체로 인한 동서냉전의 종식, 글로벌화의 진전으로 외국에 거주하는 재외동포와의 교류 등으로 개별 단편적인 호칭을 넘어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을 의미하는 용어로 ‘코리안’이라는 용어는 국내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일본 오사카부 茨木(이바라키)시에는 NPO 단체에 의하여 2008년에 설립된 코리안 국제학원(각종 학교)이 있다. 이 학교는 한국 정부에 한국학교 인가신청을 한 적이 있지만 남북한 어디와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상징적인 것은 한국어, 조선어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국어를 ‘코리아어’로 쓰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에서 민족교육기관을 표방하면서 ‘코리안’, ‘코리아’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국내에서는 해방 이후 ‘재일 조선인’이라는 용어는 인용이나 자료명을 나타내는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고 주로 ‘재일동포’가 통칭이며, 정부 수립 후 행정용어나 정부 발표 자료는 ‘일본에 있는 한국인’ 또는 ‘재일 한국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해방 전 일본의 사용법을 살펴보자. 『日本書紀』에는 고대에 한반도에서 도래한 고려인․백제인․임나(任那)인․신라인을 총칭하여 ‘한인(韓人)’이라고 호칭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續日本紀』에도 이것과 유사한 기록이 있다.

 

1910년 한국을 강제로 병합한 일본제국주의는 병합조약 공포일에 칙령으로 대한제국의 국호를 폐지하고 국호를 대신하는 지역의 명칭으로 ‘조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선언하였다. 강제병합 직후인 9월에는 ‘대한’이라는 이름을 가진 신문잡지가 모두 압수되고 10월에는 약어로 사용되었던 ‘한인(韓人)’이라는 호칭도 거의 전부 없애버리고 그 대신 ‘선인(鮮人)’이라는 별칭이 아주 짧은 시간에 통일되었다. 그 외에도 ‘내선인’(일본에 있는 조선인), ‘반도인(半島人)’ 등의 호칭이 사용되었다. 재일동포 정치학자 尹健次(윤건차)의 지적처럼 재일 조선인의 명칭에서도 경시적 태도는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1910년 8월 조선을 병합한 일본제국주의는 병합조약 공포일에 칙령으로 대한제국의 국호를 폐지하고 국호에 대신하는 지역의 명칭으로서 ‘조선’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선언하였다. 병합 직후 9월 대한의 명칭을 가진 신문잡지가 전부 압수되고 계속하여 10월에는 조선인의 약어로 사용되고 있었던 ‘한인’이라는 약칭도 거의 전부가 제거되고 대신에 ‘선인’이라는 차별어가 등장하여 아주 단기간에 통일되었다. 이후 ‘선인’, ‘반도인’, ‘반도동포’, ‘북선(北鮮)’, ‘남선(南鮮)’이라는 차별어가 정착해 감에 따라 일본인의 조선인에 대한 경멸감도 강해졌다.

 

岸田由美(기시다 유미)는 국립국회도서관 소장도서를 대상으로 제목에서 사용하는 호칭을 조사한 연구에서 다음을 확인하고 있다.

 

1920~40년대에 간행된 문헌에는 ‘조선인’ ‘반도인’ ‘외지인’의 호칭이 보이지만, 1950년대가 되면 ‘조선인’ 이외의 호칭은 자취를 감춘다. ‘한국인’의 호칭이 등장하는 것은 1960년이지만 두 개의 국가가 성립한 이후 각각 지지 세력을 구분하기 때문인가 1952년 발행한 문헌 1건에서 ‘북조선계 조선인’의 호칭이 사용되었다. 1960~70년대에는 조선인과 한국인이 사용되고 1977년에 처음으로 ‘재일한국․조선인’이 등장한다. 다른 예에서도 ‘재일한국․조선인’의 호칭은 1970년대부터 보급되어 온 것으로 생각하여도 좋을 것이다.

 

교육 분야에서는 ‘조선인’ ‘한국․조선인’의 두 개의 호칭이 주로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법원의 판결문, 행정문서 등에서 후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문부과학성의 행정용어는 ‘재일한국․조선인’으로 거의 통일되어 있으며 종종 ‘재일 한국인’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재일 조선인’의 호칭은 자취를 감추고 있다.

 

국회에서는 1976년 5월 13일 중의원 내각위원회에서 影井梅夫(가게이 우매오) 법무성 입국관리국장이 남북한의 재일동포를 총칭하는 호칭으로 ‘재일한국․조선인’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다만 남북한 국적을 구분하는 경우에 남한 국적 재일동포는 ‘재일 한국인’, 북한 국적의 재일동포는 ‘재일 조선인’으로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전 일관되게 ‘재일 조선인’으로 사용하였던 단체로는 ‘일본교직원조합’(약칭은 ‘일교조’)과 ‘전국재일조선인교육연구협의회’ 등의 교원 조직이었다. ‘일교조’는 총련의 민족교육․민족학교를 옹호하는 입장을 견지하는데 1980년대 이후에는 ‘한국․조선인’ ‘한국조선인’ ‘한국․조선족 어린이’라는 중립적인 호칭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본 사회에서 재일동포에 대한 호칭이 ‘조선인’에서 ‘한국인․조선인’으로 변해가는 시점에서 ‘조선’이라는 호칭은 민족적 동일성을 전제로 하는 민족이라기보다는 ‘한국인’ 이외의 재일동포를 가리키는 용어로 정착해가고 있다.

 

김상규 『민족교육』 47~53페이지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놀멍쉬멍, 놀며 쉬며 배우는 농촌 크리에이투어 20개소 선정
농림축산식품부는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병호)와 함께 「2024년 농촌 크리에이투어 지원사업」 대상 시․군 20개소를 선정, 발표했다. ‘농촌 크리에이투어(CREATOUR)’는 농촌에 특화된 테마 관광상품으로 농촌관광 경영체가 민간 여행사와 협업하여 올해 처음으로 개발ㆍ운영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농촌을 단순히 문화체험하는 곳만이 아니라 방문하면서 배우고 휴식하면서 재미를 느끼며 자기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프로그램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공모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38개 시․군을 대상으로 서면ㆍ발표심사를 거쳐 최종 20개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은 농촌특화 테마 상품의 개발ㆍ운영 및 홍보 등에 소요되는 사업비 250백만원(국비 125백만원)을 지원받게 될 예정이다. 이번에 선정된 대표적인 곳은 강원 원주시의 「사색(思索) 크리에이투어」, 충남 홍성군의 「따르릉 유기‘논’길」, 전북 익산시의 「다이로움 시골여행」, 경남 거창군의 「신비한 웰니스 거창」 등이다. 김종구 농식품부 농촌정책국장은 “농촌 크리에이투어 사업을 통해 도시민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농촌관광 기회 제공이 되기를 기대하며, 국민 모두가 잘 쉬고, 즐길 수 있는 농촌여행을 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