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21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추석 연휴 하루 평균 35.3건 화재 발생”...주의 요구

오인출동으로 국민혈세 낭비도

추석 연휴 기간에는 가을철 건조한 날씨와 명절 음식물 조리 등으로 하루 평균 35.3건의 화재가 발생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서울 서초갑)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아 30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추석 연휴 기간 34일 동안 1,200건의 화재로 9명이 사망하고 59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156억여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4일 동안 하루 평균 화재 35.3건의 화재가 발생한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254건, 서울 210건, 경남 106건 순이었다.

 

한편, 추석 연휴 기간 34일 동안 오인신고로 인한 소방출동 건수는 총 4,823건으로 이를 비용으로 환산하면 21억여 원의 국민혈세가 낭비됐다.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화재 출동 한 건당 동원되는 소방력은 차량 12대와 인원 32명이다. 이를 비용으로 환산하면 인건비 289,680원과 연료비, 고장수리비, 차량보험료를 포함한 차량운영비 147,272원이 나오고, 합쳐서 소방출동 1건당 436,952원이 드는 셈이다.

 

지역별 오인출동 건수는 경기도가 1,781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500건, 경남 457건, 전남 349건 순으로 집계됐다.

 

오인 출동 신고의 원인으로는 ‘연기’가 1,514건으로 가장 많았고 ‘자동화재속보설비 오작동’이 1,143건으로 뒤를 이었다. ‘자동화재속보설비’란 자동으로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통보하는 설비를 말하는데, 오작동으로 인한 출동은 소방서 내에 인적·물적 공백이 생겨 실제 긴급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소방청은 신고시 화재 징후를 고려하고 시도별로 소방력 편성 규모를 차등적으로 운영하며, 경보·속보 설비의 비화재 경보 방지를 위한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다.

 

 

조 의원은 “추석 연휴 기간에는 가을철 건조한 날씨와 명절 음식물 조리 등으로 인해 화재 발생 우려가 큰 만큼 온 가족이 안전하고 행복한 명절이 되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문신사중앙회·소상공인연합회 “‘문신사법’ 복지위 소위 상정 환영”
대한문신사중앙회는 20일 “문신사 법안은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0대 국회부터 발의했으며, 보건복지부와 협의를 거쳐 영업환경 및 자격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으로 연구용역까지 완료된 상태”라며 “국회가 더 이상 논의를 미루지 말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사)대한문신사중앙회는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2소위에 ‘문신사법’이 상정된 것을 환영하며, 해당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문신사법은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고, 문신사를 전문직으로 인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국민의 안전과 건강한 생활권을 보호하는 법안이다. 임보란 대한문신사중앙회회장은 이날 국회 앞 기자회견에서 “지난 12년간 문신사 제도화를 위해 쉼 없이 싸워왔다”며 “중앙회는 네 차례에 걸친 집단 헌법소원 제기, 국회 앞 릴레이 시위, 4차례의 대규모 집회 그리고 대법원 판례 변경을 위한 법률 대응까지 이어오며 문신사의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 이번에 상정된 법률안이 소위를 통과한다면 문신사가 전문직으로서 법적 지위를 인정받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했다.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이어 “문신산업 종사자 대부분이 영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