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메뉴

국내


귀를 의심케 한 여성비하 이준석...정치권·여성단체 "사퇴하라"

도를 넘어선 인신공격...TV토론서 부적절한 표현에 시청자 비난
"성상납 의혹도 못 푼 사람이"..."사리분별 안되는 데 무슨 대통령"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전 국민이 시청하는 '대선후보 TV토론' 시간에 여성의 신체를 성적·폭력적으로 학대하는 표현을 옮겨 물의를 빚고 있다. 이재명 대선후보의 아들이 인터넷에 썼다는 의혹이 있는 표현을 여과없이 전파해 시청자들이 눈살을 찌푸렸고 진보정당과 여성단체는 후보직 사퇴를 요구했다.

 

27일 밤 TV토론에서 이준석 후보는 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후보에게 한 질문에서 "이재명 후보가 가족 간의 특이한 대화로 문제가 되신 건 아까 사과하셨는데"라며 이재명 후보의 '형수 욕설' 논란을 언급하고는 "민주노동당의 기준을 여쭤보고 싶다"며 여성의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한 폭력적 행위를 묘사한 발언을 언급한 뒤 "이것은 여성혐오에 해당하는가, 아닌가"라고 돌연 물었다.

 

마지막 TV 토론회 이후 권 후보와 민주노동당,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여성단체에서도 강한 비판이 제기됐다.

 

권영국 후보는 토론회 종료 직후 입장문에서 "토론회에서 나온 이준석 후보의 '여성 성기' 관련 발언은 너무나 충격적이었다. TV 토론회 자리에서 들을 것이라곤 생각도 못한 발언이었다"며 "이준석 후보가 여성혐오 발언인지 물었던 그 발언은 분명한 여성혐오 발언이고, 상대 후보를 비방하겠다는 의도로 여성혐오 발언을 공중파 TV토론 자리에서 필터링 없이 인용한 이준석 후보 또한 여성혐오 발언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권 후보는 "이준석 후보의 즉각 사퇴를 촉구한다"며 "태연하게 이런 발언을 한 후보를 제지하거나 경고하지 못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방토위)에 상당한 유감을 표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도 조승래 선대위 수석대변인 논평에서 "이준석 후보는 결코 방송에서 입을 담을 수 없는 폭력적 표현으로 대선후보 TV토론을 기다려온 국민을 충격에 빠뜨렸다"며 "이준석 후보는 토론을 빙자한 끔찍한 언어 폭력에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여성단체 '한국여성의전화'도 토론회 직후 성명을 내고 이준석 후보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 단체는 "이준석 후보가 27일 지상파와 온라인 등에 생중계된 제21대 대선후보 3차 토론회에서 여성의 신체에 대한 폭력을 묘사한 표현을 질의를 빙자해 그대로 내뱉았다"며 "이게 무슨 짓인가. 왜 유권자가 대선 토론을 보다 이따위 표현을 마주해야 하는가"라고 맹비난했다.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목적을 떠나 이런 발언을 대선 토론에서 했다는 것 자체가 얼마나 사회성 결여되고 사리 분별을 못하는 것인가", "이준석 토론 시청하지 마시기 바란다. 자녀와 보다간 정말 큰일난다", "자신의 성상납 받은 이야기난 할 것이지, 후보 자격도 안되는 인간이 여성 비하를 하니 꼬라지가 우숩다" 등의 불만과 비판이 쏟아졌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사회적기업협의회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 전개”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소속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여성기업, 비영리단체, 협동조합 등 대표 일동은 8일 “주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통한 우리의 실천이사회적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며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 사회에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사회통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면서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이 고용한 총 71,950명 노동자에 64%(46,385명)가 취약계층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안전망을 구축해 온 것은 고용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의 성공한 정책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제 우리 협의회는 '일자리 창출'을 넘어, 4.5일제 참여를 통해 일과 가정의 균형과 안전한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일과 삶의 균형 있는 일자리 안정망’의 사회적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면서 “나아가 우리의 실천이 사회적기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장에서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하겠다.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홍보 해나가겠다”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