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21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작물의 발아 시점 조절 가능한 매커니즘 밝혀

종자품종개량에 응용하여 농산물 상품성 증진 기대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국내 연구진(포항공과대학교의 이영숙 교수 연구팀)이 어린 식물이 버틸 수 없는 환경에서 일찍 발아해버리는 ‘잘못된 시작’을 막아주는 식물 호르몬 앱시스산(ABA)*을 수송하는 단백질(수송체)과 그 수송 매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수확물의 품질 향상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 ABA(Abscisic acid) : 종자의 발아억제, 휴면촉진, 낙과촉진 등을 유발하는 호르몬


이번 연구는 식물의 종자가 적절한 환경을 만날 때까지 발아하지 않고 휴면 유지에 필요한 앱시스산 호르몬의 수송체를 규명하는 연구로, 미래창조과학부의 기초연구사업(글로벌연구실, 중견연구자지원)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이 연구결과는 생명과학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 판 9월 3일자에 게재되었다.


벼의 수발아 현상과 같이, 완숙기에 들어간 종자가 이삭에 매달린 상태에서 일찍 발아해 버리는 현상은 곡물 생산에 큰 피해를 준다. 이런 수발아 현상이 일어나면 생산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품질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농가의 피해로 귀결된다.


연구를 주도한 이영숙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발아 억제 유전자들을 이용하면, 휴면 상태를 더 잘 유지하는 돌연변이 종자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각종 종자 품종 개량사업에 응용하면 시기에 맞지 않는 발아 때문에 농산물의 상품성이 훼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