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두 발 없는 선수, 피스토리우스 1600m 계주 예선 출전

 두 다리가 없는 장애인으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를 밝은 육상 선수 오스카 피스토리우스(26.남아공)가 아쉽게 런던올림픽 남자 400m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피스토리우스는 6일 오전(한국시간)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400m 준 결선 2조 경기에서 46초54로 조 최하위기를 기록했다. 개인기 최고기록인 45초07와 이틀 전 예선 성적 45초44보다 느리다.

태어날 때부터 두 종아리뼈가 없는 상태였던 피스토리우스는 생후 11개월 때 무릎 아래를 모두 절단했다. 의사들이 “평생 제대로 걸을 수 없을 것”이라고 했지만 피스토리우스는 의족을 신고 동네를 누볐고 럭비, 레슬링 등 각종 운동을 섭렵했다.

 17세 때 육상에 입문한 피스토리우스는 패럴림픽(장애인올림픽)을 휩쓸고 2004년 아테네 패럴림픽 200m 정상에 올랐다. 그리고 올림픽 도전을 선언했다. IAAF(국제육상경기연맹)는 경기용 의족이 경기력에 도움이 된다며 반대했다. 그러나 피스토리우스는 여기에 굴하지 않고 2008년 스포츠중재위원회(CAS)에 제소해 승소했다.

 4년 전 베이징올림픽 때는 본선 출전 기준기록(당시 45초55)를 통과하지 못했지만 피나는 노력으로 매년 기록을 단축해 작년에는 생애 첫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출전했고, 올해는 올림픽 무대를 밞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남도미식의 세계화 이끈다
‘K-푸드의 원류’ 남도미식 최근 ‘K-푸드’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한류 열풍 을 이끌고 있다.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이 한국 문화콘텐츠 중에서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분야로 꼽혔다. 단순히 한국 음식을 맛보는 것 이외에도 역사적·문화적·정서적인 측면까지 관심이 확대되면서, 한식은 그야말로 세계를 잇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식의 대표, 한식의 뿌리는 어디인가. 답을 찾는 데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 같지 않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맛의 고장’을 묻는다면 심중팔구 전라남도를 꼽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머니 손맛과 정성 가득한 맛의 본고장, 청정바 다와 황금들녘이 키워낸 산해진미의 천국, 그곳은 누가 뭐래도 단연 전라남도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K-로 컬미식 33선’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6종(목포 홍어, 여수 갯장어, 담양 떡갈비, 무안 낙지, 완도 전복·김)의 남도미식이 선정됐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대한민국식 품명인 81명 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명이 활동하는 등 전라남도는 명실상부 K-미식의 대표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전국 최초 미식 테마 정부 승인 박람회 전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