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22일, 제3회 한국형 일학습병행제 정착을 위한 국제컨퍼런스 개최


지난 22, ‘3회 한국형 일학습병행제 정착을 위한 국제컨퍼런스가 서울JW메이어트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됐다.


한국형 일학습병행제 정착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는 한국형 도제제도인 일학습병행제가 시범 도입된 2014년부터 시작됐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도제훈련의 최고 전문가인 국제노동기구(ILO)의 카즈토시 차타니 전문위원이 기조 강연자로 나섰다. 이어 독일, 덴마크, 한국, 스위스, 호주, 대만 등 6개국의 도제훈련 전문가가 강연을 펼쳤다.


한국형 도제제도인 일학습병행제란 기업이 학생 또는 구직자를 채용해 일을 담당하게 하면서, 교육훈련을 통해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제도로 학교와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시스템이다.


카즈토시 차타니 전문위원은 기조강연을 통해 청년층의 고용 문제 해결 등을 위해 국제사회에서 도제훈련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카즈토시 치타니 전문위원은 “기존의 경험적 연구를 토대로 훈련초기 단계에서는 비용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지만, 훈련이 진행될수록 편익이 더 크게 발생해 전반적으로 성과가 창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주요 사례 발표에서 독일연방직업훈련연구소(BIBB) 필립 그롤만 박사는 독일 도제훈련의 비용·편익 및 향후과제를 주제로 기업, 훈련생, 국가 차원에서의 도제훈련 성과를 소개했다.


필립 박사는 훈련생 입장에서 훈련수당(평균 800유로), 노동시장 진입 및 임금 상승 기회 등의 편익이 발생하고, 구가차원에서는 청년 고용률 제고, 독일 기업 경쟁력 상승 등의 성과가 크게 나타남을 강조했다.

 

호주 도제지원센터(MEGT) 데이비드 윈드리지 대표는 도제훈련 개혁, 도제훈련 정부지원금 제공, 훈련 이수를 제고를 위한 기업맞춤형 지원 시스템 개편 등 도제훈련 성과 제고를 위한 호주 정부의 노력을 소개했다.

 

이 외에도 덴마크 메트로폴리탄 대학 피터 코달 교수의 덴마크 도제훈련- 현황, 성과 및 사회적 파트너의 역할과 스위스 연방직업능력개발원 안체 바라바쉬 박사의 스위스 도제훈련의 성공적 투자방안 등의 사례 발표가 진행됐다.


고용노동부 권기섭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이번 컨퍼런스는 세계 최고 도제훈련 전문가들의 생생한 강연을 직접 듣고, 도제 훈련 관련 궁금증들을 해소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면서 일학습병행제가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되고, 확산되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사회적기업협의회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 전개”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소속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여성기업, 비영리단체, 협동조합 등 대표 일동은 8일 “주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통한 우리의 실천이사회적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며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 사회에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사회통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면서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이 고용한 총 71,950명 노동자에 64%(46,385명)가 취약계층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안전망을 구축해 온 것은 고용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의 성공한 정책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제 우리 협의회는 '일자리 창출'을 넘어, 4.5일제 참여를 통해 일과 가정의 균형과 안전한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일과 삶의 균형 있는 일자리 안정망’의 사회적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면서 “나아가 우리의 실천이 사회적기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장에서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하겠다.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홍보 해나가겠다”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