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메뉴

사회·문화


주택화재, 1월에 가장 많이 발생 ...각별한 주의 당부


제천 화재 참사에 이어 밀양 세종병원 화재참사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해 안타까움을 전해주고 있다.

 

특히 겨울은 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전기장판과 난로 등 전열기 사용이 늘어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최근 5(‘12~’16)사이 발생된 화재 통계에 따르면 총 55,268건의 주택화재가 발생해 932명이 사망했다.


주택화재는 겨울철 중에서도 1월이 5,719건으로 연중 가장 많이 발생했다. 사망자 또한 144명으로 월평균 78명보다 1.8(66) 많았다.

 

화재 발생 원인은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30,960(56%)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과열 등으로 인한 전기적 요인이 11,704(21%), 원인을 알 수 없는 미상 5,672(10%), 가스누출 등의 기계·화학·가스 3,237(6%), 방화가 2,515(5%) 순이었다.


이 중 부주의로 인한 화재는 음식물 조리나 빨래 삶기가 13,108(42%)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담배꽁초 5,799(19%), 화원방치가 4,943(16%) 순이었다.


전기장판과 난로 등의 전열기를 사용할 경우 집안의 누전차단기 시험버튼을 눌러 작동을 확인하고, 가스시설의 밸브와 보일러 등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또 전열기를 사용할 때는 높은 온도로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빨래를 삶을 때는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하고 자리를 비우지 않아야 한다.

단독주택은 소방시설이 갖추어진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달리 화재 발생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화재 시 경보음이 울리는 단독형감지기와 소화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고, 안전한 대피요령과 소화기 사용법을 알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행정안전부는 공동주택에서의 화재는 본인뿐 아니라 이웃에게도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집안의 불필요한 전원은 차단하고 누전이나 가스누출은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할 것을 당부했.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연금연구원, 소득하위 70% 기초연금 '원점 재검토'
정부가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해 지급하는 기초연금의 수급자 선정 기준을 면밀히 점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기존 기초연금 선정기준 산출 모형을 정밀 분석하는 연구를 시작하기로 하면서, 제도 개편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4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열린 ‘2025년 연구용역심의위원회’에서 ‘기초연금 선정기준 기존 모형 분석’ 과제를 만장일치로 승인받았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보건복지부가 담당해 온 기초연금 선정 기준 연구를 연구원이 이관받아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산출 방식에 오류가 없는지 철저히 점검하고 향후 제도 개선에 활용하려는 취지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인 이들에게 지급되는 사회보장제도로,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이들의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 등을 월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이다. 현행법은 전체 65세 이상 노인의 소득 하위 70%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정부는 매년 소득과 재산 분포를 분석해 이 경계선을 금액으로 발표한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하는 ‘오류 가능성’은 소득과 재산 산정 방식,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