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28일 화요일

메뉴

경제


한경연 “기업 세부담 증가, 소득 증가율 대비 4.3배 빨라”

 

2010~2018년 중 기업의 소득 등에 대한 세금 증가속도(연평균 9.0%)가 기업 소득 증가속도(연평균 2.1%)의 4.3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7일 ‘가계·기업 소득과 세금·사회부담금 등 공적 부담 증가속도 비교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경제활력을 되살리기 위한 기업의 세부담 완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2010~2018년 주 우리나라 가계와 기업의 소득 합계는 2010년 1,254조원에서 2018년 1,677조원으로 연평균 3.7% 증가했다.

 

반면, 가계와 기업의 소득에 대한 경상세(소득세나 법인세와 같이 소득·부 등에 부과되는 조세)와 사회부담을 합한 공적 부담은 같은 기간 203조원에서 381조원으로 연평균 8.2% 늘었다.

 

경제주체별로 가계(비영리단체 포함)의 경우 2010~2018년 중 소득은 연평균 4.6%, 소득·부 등에 대한 경상세는 연평균 8.9% 증가해 조세 부담 증가속도가 소득보다 2배 높았다.

 

기업(비금융+금융)은 소득 증가율은 연평균 2.1%였지만, 조세 부담은 9.0% 증가해 조세 부담이 소득보다 4.3배 빠르게 증가했다.

 

특히, 2015년 이후 소득보다 조세 부담이 가파르게 증가한 가운데, 증가율 격차가 2018년에는 15.2%p까지 벌어졌다.

 

이는 2015년 이후 이어진 대기업 관련 각종 공제·감면 축소와 지난해 3%p 인상된 법인세율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 GDP 대비 법인세 비율은 3.8%로, OECD 34개국 중 7위를 기록했다.

 

일본(4.0%, 6위)보다는 낮지만, 미국(1.9%, 28위)은 물론 독일(2.0%, 26위), 프랑스(2.3%, 23위), 영국(2.8%, 17위) 등 전통적 유럽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2018년에 법인세 최고세율 인상이 이뤄진 점을 감안할 때 2017년 OECD 7위를 기록한 우리나라 기업의 GDP 대비 법인세 부담비율은 최근 더 높아졌을 것”이라며 “미·중 무역갈등에 더해 일본 수출규제까지 현실화하는 상황에서 기업 활력을 높이기 위한 법인세율 인하와 R&D 및 시설투자에 보다 과감한 세제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한화오션, 하청노조 상대 470억 손배소 취하...정치권 “환영”
한화오션이 대우조선해양 시절인 2022년 여름 51일 점거파업을 이유로 사내협력업체 노동자들이 가입해 있는 민주노총 금속노조 경남지부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지회장 김형수)에 제기했던 470억 원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취하하기로 했다. 이에 정치권에선 환영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이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 법률) 시행과 맞물려 국회와 시민사회의 요구, 노사 상생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는 반응이다. 한화오션과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이하 하청지회)는 28일 국회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2건의 손해배상청구소송 취하 합의를 발표했다. 한화오션은 이날 합의를 통해 하청지회를 대상으로 한 소송을 조건 없이 즉각 취하하고, 하청지회는 파업으로 발생한 사안에 유감을 표명했다. 또 양측은 같은 사안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 노력할 것을 확인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정인섭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사장은 “한화오션과 하청지회는 서로에 대한 신뢰의 큰 걸음을 내딛었다”라며 “지난 갈등의 과정을 뒤로하고 상호 존중과 협력을 기반으로 한 동반성장을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과거를 극복하고 원청 노사와 협력사 노사 모두가 안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