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경찰청 “추석 연휴 전날 교통사고 가장 많이 발생해”

경찰청은 11일 최근 3년(2016~2018년) 추석 연휴 기간의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본격적인 귀성이 시작되는 연휴 전날 교통사고 및 사상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추석 연휴 기간 중 하루 평균 교통사고 및 사상자는 평소 주말보다 다소 감소했으나, 본격적인 귀성이 시작되는 연휴 전날은 교통사고 807.3건, 사상자 1,175.6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추석 연휴 기간 중 음주운전 사고는 하루 평균 사고 57.6건, 사상자 111.5명으로, 평소 주말(63.5건, 117.0명)보다 사고는 9.3%, 사상자는 4.7% 감소했다.

 

일자별로는 연휴 전날(63.0건, 104.0명), 추석 다음 날(54.7건, 82.3명), 추석 당일(53.3건, 114.0명) 순이었고, 시간대별로는 22시~04시에 음주운전 사고가 41.6% 발생했다.

 

졸음운전 사고는 연휴 기간 중 하루 평균 사고 4.7건, 사상자 11.1명으로, 평소 주말(5.7건, 12.6명) 대비 사고 17.5%, 사상자 11.9% 줄었다.

 

일자별로는 추석 당일(6.3건, 17.0명), 연휴 전날(5.0건, 11.7명), 추석 다음 날(5.0건, 11.3건) 순이었고, 02시~06시, 12시~18시에 사고의 59.6%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 사고는 하루 평균 사고 12.2건, 사상자 37.9명 발생했다. 평소 주말(12.9건, 35.7명)보다 사고는 5.4% 감소한 수준이지만, 사상자는 6.2% 증가했다.

 

노선별로는 경부선(17.3건), 서해안선(10.3건), 영동선(8.0건) 순으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했고, 10시~16시 사이에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45.3%가 발생했다.

 

경찰청은 국토교통부·소방청·지방자치단체·한국도로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업해 교통사고 예방 활동에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고속도로에서 과속·난폭운전 등 고위험 행위와 갓길운행·버스전용차로 위반 등 얌체운전에 대한 암행순찰차(21대), 경찰 헬기(12대), 드론(9대) 등을 활용해 단속한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