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의료계의 집단행동과 관련해 "지금 이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의료인들이 의료 현장을 떠난다는 것은 전시 상황에서 거꾸로 군인들이 전장을 이탈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한국 교회 지도자 초청 간담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의료계의 집단행동이 국민들에게 더 큰 불안과 고통을 주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세계는 이 코로나 방역을 '전쟁'이라고 표현을 하고 있고,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말하자면 가장 큰 위기이고, 또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다는 것"이라며 "전시 상황이 되면 휴가를 가거나 외출을 나갔던 군인들도 군대로 돌아와서 총을 잡는다"라고 했다.
이어 "또 비유를 하자면 사상 최대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소방관들이 그 화재 앞에서 파업을 하는 것이나 진배없다"라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의대생들 국가시험 거부에 대해 "의대생 개인에게도 아주 막대한 그런 손해가 일어나고, 국가적으로도 큰 부담이면서 큰 손실이 되지 않을 수 없다"라며 "우리 의료계가 이 코로나 때문에 국민들이 겪고 있는 고통을 결코 외면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고, 또 그렇게 기대를 하고 있다"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거듭 정부의 강경방침과 함께 의료계와의 대화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진정성 있는 대화를 나누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법과 원칙대로 이렇게 또 임하지 않을 수 없다"라며 "정부가 가지고 있는 선택지가 이렇게 크게 있지 않다"라고 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24일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면서도 의료계 파업에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낸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확산 저지에 국가적 역량을 모아야 할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집단행동은 결코 지지받을 수 없다"며 "의료계의 집단행동도 자제해 주시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거나 비판할 수 있지만, 합법적인 선을 넘어서는 안 된다"며 "정부는 국민의 생명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휴진, 휴업 등의 위법한 집단적 실력 행사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