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경기도교육청,' 2023학년도 고교 평준화 지역 학생 배정 방안' 발표

-고교 평준화 9개 학군 ‘선 복수지원 후 추첨제’ 일반고 신입생 배정
-수원·성남·안양권·고양·안산·용인 학군은 학군내배정, 구역내배정 순으로 학생 배정
-부천·광명·의정부 학군은 학군내배정만으로 학생 배정
-외고, 국제고, 자사고 지원자 중 희망자 평준화 학군 동시 지원 가능
-9월부터 교육지원청, 중학교 3학년 학생, 학부모, 교원 대상 온라인 설명회 실시 예정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은 ‘2023학년도 경기도 고등학교 평준화 지역 학생 배정 방안’을 21일 발표했다. 도내 고교 평준화 지역은 수원, 성남, 안양권, 고양, 안산, 용인, 부천, 광명, 의정부 등 9개 학군이다.

 

도교육청은 2023학년도 고교 평준화 지역 9개 학군의 일반고 202개교를 ‘선복수지원 후추첨제’ 방식으로 학생을 배정한다. 고교 평준화 지역 학생 배정은 학생의 학교 지망 순위를 바탕으로 1단계 ‘학군내배정’과 2단계 ‘구역내배정’으로 진행한다.

 

학군내배정은 출신 중학교 소재 구역에 상관없이 학생이 해당 학군 모든 학교 가운데 5개교를 선택해 지망 순위를 정하면 컴퓨터 추첨으로 배정한다.

 

구역내배정은 학군내배정 단계에서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 전원을 출신 중학교 소재 구역에 있는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학생이 희망한 지망 순위를 반영해 컴퓨터 추첨으로 배정한다.

 

수원, 성남, 안양권, 고양, 안산, 용인 6개 학군은 1단계 ‘학군내배정’과 2단계 ‘구역내배정’을 모두 진행한다. 다만, 고양학군 향동고와 용인학군 처인고는 한시적으로 학군내배정만 실시하고 구역내배정은 하지 않는다.

 

부천, 광명, 의정부 3개 학군은 1단계 ‘학군내배정’만 실시하며, 학군 안에 있는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1지망부터 마지막 지망까지 지망 순위를 정해 컴퓨터 추첨으로 배정한다.

 

 

한편, 외고, 국제고, 자사고 지원자 가운데 희망자는 평준화 지역 학군에 동시 지원이 가능하다. 동시 지원은 고등학교 지망 순위를 작성할 때 1지망은 외고, 국제고, 자사고로 선택하고, 2지망부터 학군, 구역 내 고등학교를 희망하는 순서대로 기재하면 된다.

 

지원자가 1지망인 외고, 국제고, 자사고에 불합격하면 2지망부터 학군, 구역 내 일반고 지망 순위를 반영해 추첨 배정한다. 이밖에 학교폭력으로 강제전학 조치된 가해학생이 피해학생과 동일학군 일반고에 지원한 경우, 피해학생을 우선 고려해 각각 다른 학교로 배정한다.

 

도교육청은 9월부터 고교 평준화 지역 학생 배정 방안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학군별 교육지원청, 중학교 3학년 학생, 학부모, 교원 대상으로 온라인 설명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 고등학교 입학·전학포털(satp.go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교육청 김은정 진로직업정책과장은 “평준화 지역 중학교에서는 2023학년도 해당 학군 학생 배정 방안을 정확히 이해하고 학생 진학 상담을 빈틈없이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하며, “도교육청은 학생들이 지망한 순위에 따라 고등학교에 공정하게 배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