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경기도, 37조1천744억원 규모 제1회 추경안 통과

-23일 경기도의회 제378회 임시회에서 추경 통과
-올해 본예산 36조1천210억원 대비 1조534억원(2.9%) 증가
-민생회복, 도민편익 증진・지역경제 활성화 필수사업 편성
- K컬처밸리 관련 토지매입비 반환금 1천524억원 편성

경기도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이 총 37조 1,744억 원 규모로 23일 경기도의회를 통과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 36조 1,210억 원보다 1조 534억 원(2.9%)이 늘어난 것으로, 민생회복 촉진, 도민편익 증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요 사업들이 편성됐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경기도의회 제378회 임시회에 참석해 “지속되는 경기침체와 민생의 어려움으로 많은 도민들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민생 현장과 가장 가까운 지방정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때”라며 “의결된 소중한 예산은 도민 한분 한분에게 실질적 혜택이 고르게 그리고 빠르게 전달되도록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의회를 통과한 제1회 추경예산을 보면 본예산은 36조 1천210억원보다 1조 534억원이 늘어난 37조 1천744억원으로, 일반회계는 1조 1천127억원 증액, 특별회계는 593억원이 감액됐다. 


취약계층, 소상공인 지원을 통한 민생회복 사업으로는 ▲기존주택 임대·행복주택 건설 1천355억원 ▲청년월세 한시 지원 146억원 ▲주거급여 259억 원 ▲노인장기요양 시설·재가 급여 208억원 ▲지역화폐 발행 339억원 ▲노란우산 가입 지원 10억원 ▲도립의료원 손실 지원 20억원 등을 각각 편성했다.


도민 편익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으로는 ▲기후행동 기회소득 51억원 ▲농작물·가축 재해보험 가입 지원 14억원 ▲유·초·중·고등학교 급식비 지원 199억원 ▲THE 경기패스 686억원 ▲경기도 공공버스 운영 지원 126억 원 ▲출퇴근시간대 증차 지원 29억원 등을 각각 편성했다.


SOC 준공과 적기 투자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으로 ▲국지도 및 지방도 사업 519억원 ▲지방하천 정비·수해상습지 개선 사업 239억원 ▲GTX-A 노선(파주~삼성) 161억원 등 철도건설 사업 171억원 ▲소방재난본부 이전 44억원 등을 각각 편성했다.


또한, 지난 6월 계약 해제된 K-컬처밸리 공공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한 토지매입비 반환금 1천524억원이 편성됐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