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보이프렌드(BOYFRIEND)! 日 시부야 ''보이프렌드 카페''까지 등장!

-보이프렌드의 첫 정규 일본 앨범인 'SEVENTH MISSION'의 발매기념 이벤트-

5월 28일 디지털 싱글 앨범 국내 발매를 앞둔 보이프렌드의 일본 내 인기가 심상치 않다.

최근 일본 시부야의 유명 백화점인 파르코(PARCO) 및 109MEN’S의 외벽에는 보이프렌드의 초대형 현수막이 게시되며 보는 이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파르코 백화점 내의 ''보이프렌드 카페''와 109MEN’S에 자리 잡은 보이프렌드 전시관은 블록버스터급 스케일을 과시하며 일본 내 뜨거운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보이프렌드의 소속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보이프렌드의 첫 정규 일본앨범인 ''SEVENTH MISSION''의 발매를 기념한 이벤트다. 시부야의 상징적인 두 백화점에서 진행하는 행사로 현지 팬들의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 성황리에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보이프렌드의 앨범발매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일본 시부야에 저렇게 크게 걸려있다니 보이프렌드 인기 어마어마하네’, ‘K POP 특급돌 다운 행보다’, ‘한국에서도 빨리 활동했으면 좋겠다’는 다양한 댓글로 관심을 표했다.

지난해 8월에 발매한 보이프렌드는 첫 번째 싱글앨범「Be my shine 키미오 하나사나이(그대를 놓치지 않아)」가 오리콘 싱글랭킹 일간 1위를 기록했다.

이어 11월에 발매한 두 번째 싱글앨범「키미토Dance DanceDance(너와Dance DanceDance)/ MY LADY 후유노코이비토(겨울의연인)」은 3위로 핫샷 데뷔에 이어, 3월 27일 발매된 세 번째 일본 싱글 앨범의 타이틀곡인 ''히토미노 멜로디(눈동자의 멜로디)''까지 오리콘 일일 싱글 차트 3위를 차지하면서 ''보이프렌드'' 돌풍을 지속하고 있다.

또 제 27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베스트3 뉴 아티스트(아시아)를 수상하고 영화 「GOGO 이케멘 (꽃미남)5」 첫 주연으로 발탁되는 등 인기 고공행진을 달리고 있다.

한편, 한일 양국을 오가며 활발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보이프렌드는 오는 5월 28일 디지털 싱글을 발매를 앞두고 있다.

박희상 기자 / phs@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