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3주째 글로벌 1위' 오겜2, 넷플릭스 역대 시청수 3위

벌써 1억5000만뷰...각종 논란 딛고 웰메이드 작품 반열에

 

'오징어 게임2'가 각종 잡음에도 3주차 만에 역대 시청수 3위를 기록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2가 1억5000만뷰(시청 시간을 작품의 전체 러닝 타임으로 나눈 값)를 돌파하며, 공개 3주차에도 글로벌 1위 자리를 지켰다.

 

15일 넷플릭스의 공식 집계인 '톱10 투둠' 웹사이트에 따르면, 오징어게임2'는 지난주(1월 6~12일) 2630만뷰를 기록했다. 이로써 '오징어 게임2'는 넷플릭스 글로벌 TOP 10 시리즈 부문 영어, 비영어 통합 1위를 유지, 93개국 TOP 10 리스트에서 폭발적인 호응을 이어 나가고 있다.

 

특히, 오징어게임2는 공개 3주차에 접어든 현재까지 1억5250만뷰를 기록해 오징어게임 시즌1, '웬즈데이'에 이어 넷플릭스에서 역대 3번째로 가장 많이 시청된 작품이 됐다. 

 

'오징어 게임' 시즌 2는 시청 시간을 전체 러닝타임(7시간 10분)으로 나눈 시청 수에서도 가장 많은 2630만을 기록했다. 누적 시청 수는 1억5250만이다. 역대 순위에서 시즌 1과 '웬즈데이'에 이어 3위를 달린다. '기묘한 이야기' 시즌 4, '다머 - 괴물: 제프리 다머 이야기', '브리저튼' 시즌 1 등을 따돌린 것이다.

 

더불어 시즌1의 '역주행'도 눈길을 끈다. 이번 주 집계에서 시즌1은 870만뷰를 기록해 넷플릭스의 비영어 TV 순위 3위에 올랐다. 후속작의 화제로 전작에 대한 시청자들의 '복습 효과'로 풀이된다.

 

오징어게임2 공개 직후 호불호가 갈렸지만 이 시리즈는 역사상 가장 흥행한 넷플릭스 시리즈의 후속작인 탓에 국내외 시청자들로부터 극중 게임과 이병헌 등 출연진들의 탄탄한 연기가 입소문을 타면서 호평을 얻었다고 볼 수 있다. 

일부 출연진 중 마약 논란으로 활동을 중단했던 전 빅뱅 탑이 캐스팅 특혜 의혹, 박성훈의 AV 사진 게시 실수, 박규영의 시즌3 스포일러 논란 등 일었지만 콘텐츠의 힘으로 정면돌파했다.

 

한편, 오징어게임 시리즈의 결말로 예고된 시즌3은 올해 중으로 공개된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