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의료기기법 위반업체 무려 427개소

식약처의 의료기기업체 관리 부실로 인해 의료기기법 위반 업체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2일 새정치민주연합 김용익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이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의료기기법 위반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20148월까지 의료기기법을 2회 이상 상습적으로 위반한 업체가 무려 427개소(1,04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양전자의료기()의 경우 동 기간 동안 무려 11회나 의료기기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나 상습위반업체에 대한 처벌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식약처가 2006년부터 20108월까지 2회 이상 의료기기법 위반업체 현황을 공개했던 것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2회 이상 위반업체의 수가 92개소에서 427개소로 증가하여 4.6배 증가했으며, 최대 위반업체의 위반횟수도 5회에서 11회로 2배 이상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 밖에도 9회 위반업체가 1개소(조양의료기()), 8회 위반업체가 1개소(()디에스하이텍), 7회 위반업체가 1개소(씨엠의료기), 6회 위반업체가 5개소(대명실업(), 에스엠씨코리아, 닥터리, 비씨엡코리아, 청우메디칼), 5회 위반업체가 8개소(넥슨(), 장안하이텍(), 맥진메디칼, 비씨케이, 세만텍, 아이피엑스코리아, 코지라이프, 휴스트메디칼)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허가 의료기기의 제조, 수입업체의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6년부터 20106월 까지 34곳의 업체가 적발된 반면, 2011년~20148월까지 47개 업체가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의료기기 제조, 수입업체가 영세하고, 박근혜정부 규제완화로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가 낮은 1등급 의료기기의 GMP 심사를 면제해주면서, 5인 미만 업체수가 70%이상 증가(2011년 대비 제조업체 426개소, 수입업 374개소 증가)하여 관리, 감독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경우 1인 업체가 전체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0%, 2인 이하 업체가 21.5%, 4인 이하 업체가 43.1%에 이르며, 50인 이하의 영세업체가 전체의 94.1%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제조업체의 영세성으로 인해 생산된 의료기기의 질을 담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의료기기 수입업체 역시 1인 업체가 18.0%, 2인 이하 업체가 37.2%에 이르며 50인 이하 영세업체가 전체 의료기기 수입업체의 96.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20148월까지 2회 이상 의료기기법 위반 업체 가운데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지정 업체도 216개소(50.6%)가 포함되어 있으며, GMP 지정업체 중 위반횟수가 많은 곳은 8회 위반업소 1개소, 6회 위반업소 3개소, 5회 위반업소 5개소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가 높은 3,4등급의 의료기기를 취급하는 업체도 125개 업체나 포함되어 있어 자칫 의료기기로 인한 사망사고의 위험성까지 안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의료기기법에는 의료기기 자체의 문제나 허가받지 않고 제조, 판매 등의 행위를 하는 것에 대한 제제규정은 있으나, 반복적으로 위법 행위를 하는 것에 대한 제재를 가하는 규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법위반에도 불구하고, 이익이 더 클 경우 불법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김용익 의원은 상습적이거나 악의적으로 의료기기법을 위반하는 업체들의 위법행위로 인해 국민건강이 위협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삼진아웃제나 특별관리제 도입 등 식약처의 적극적인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