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20일 수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유정복 인천시장, 자매도시 호놀룰루 방문해 교류협력 강화

호놀룰루시장, 하와이주지사, 부동산개발사 대표 등 만나 부동산 엑스포 참가 홍보 등 협조 요청


지난 3월 14일 미국 출장길에 오른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마지막 일정으로 3월 17일과 3월 18일(호놀룰루 현지시간) 양일간 인천시의 국제자매도시인 미국 호놀룰루를 방문했다. 

유정복 시장은 커크 칼드웰(Kirk Caldwell) 호놀룰루시장, 어니스트 마틴(Earnest Martin) 호놀룰루시의회의장과 하와이주 데이비드 이게(David Ige) 주지사 등과 면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유정복 시장은 인천경제자유구역, 세계 부동산 엑스포 그리고 168개 섬 프로젝트 개발구상 등을 적극 설명했다. 특히, 오는 8월 31일부터 9월 3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아시아권 박람회 중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제2회 세계 부동산 엑스포”를 상세히 소개한 후 하와이 부동산관련 기업의 참가와 홍보를 요청했다. 

이에 칼드웰 호놀룰루시장, 마틴 호놀룰루시의회의장, 이게 하와이주지사는 하와이 부동산기업들이 참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유정복 시장은 하와이 최대 부동산 개발가인 하워드 휴즈(Howard Hughes)사의 데이비드 스트라이프 수석부사장과 아발론(Avalon)사의 크리스틴 캠프 대표 등과도 만나 경제자유구역과 세계 부동산 엑스포에 대해 소개하고 엑스포 참가를 요청하기도 했다. 

호놀룰루시는 인천시와 특별한 역사적 인연을 갖고 있다. 1902년 12월 22일 최초의 미주 한인 이민자 102명을 태운 갤릭호가 인천 제물포를 떠나 1903년 1월 13일 호놀룰루항에 도착했는데, 이민자의 대부분이 인천의 초기 기독교회인 내리교회 출신이었다. 아울러 2008년 6월 월미도에 개관한 우리나라 최초로 이민 역사를 다룬 한국이민사박물관도 제물포를 출발한 선조들의 애환이 서린 이민역사를 기리기 위해 건립된 박물관이다. 

이러한 인연을 계기로 인천시과 호놀룰루시는 미주 한인이민 100주년 되던 해인 2003년 10월 15일 자매결연을 체결했으며, 그동안 인천자매우호도시 정상회의, 공무원파견, 미술교류전, 조형물 교환, 인적교류 등의 활발한 교류를 추진해 오고 있다.


 한편, 유정복 시장은 5박 7일간의 방미 일정동안 뉴욕에서의 투자유치 협약, 시카고에서의 전미부동산협회와의 제2회 세계 부동산 엑스포 업무협약 그리고 자매도시 호놀룰루에서의 세계 부동산 엑스포 참가 홍보 등의 모든 일정을 마치고 3월 20일 오후 입국한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문신사중앙회·소상공인연합회 “‘문신사법’ 복지위 소위 상정 환영”
대한문신사중앙회는 20일 “문신사 법안은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0대 국회부터 발의했으며, 보건복지부와 협의를 거쳐 영업환경 및 자격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으로 연구용역까지 완료된 상태”라며 “국회가 더 이상 논의를 미루지 말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사)대한문신사중앙회는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2소위에 ‘문신사법’이 상정된 것을 환영하며, 해당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문신사법은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고, 문신사를 전문직으로 인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국민의 안전과 건강한 생활권을 보호하는 법안이다. 임보란 대한문신사중앙회회장은 이날 국회 앞 기자회견에서 “지난 12년간 문신사 제도화를 위해 쉼 없이 싸워왔다”며 “중앙회는 네 차례에 걸친 집단 헌법소원 제기, 국회 앞 릴레이 시위, 4차례의 대규모 집회 그리고 대법원 판례 변경을 위한 법률 대응까지 이어오며 문신사의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 이번에 상정된 법률안이 소위를 통과한다면 문신사가 전문직으로서 법적 지위를 인정받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했다.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이어 “문신산업 종사자 대부분이 영세

배너